p73에서 플로차트가 나오는데 반복하는부분 ( 동그라미 12,13번 )이 이해가 잘 안가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해석한건 이렇습니다.
12번 답이 i=c,1,-1인데 이게 'i가 c에서 1이 될때까지 -1만큼 증가시키면서 13번을 반복한다.' 라고 해석하였고
의문점은 '-1만큼 증가시킨다고만 하면 배열의 위치중 제일 우측자리부터 출력시키는 것인가?' 입니다.
그럼 바꿔서 'i가 c에서 5가 될때까지 1만큼 증가시키면서 13번을 반복한다'(i=c,5,1) 로 만들어버리면
자동적으로 배열의 위치중 제일 좌측부터 5번째 자리까지 출력되는 것입니까?
단순히 증가값만 가지고 출력위치가 변하는것인지, 아니면 제가 무엇인가 놓치고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또 질문이 있는데
1. i=c 에서 왜 c에서 시작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i=c의 의미가 뭔지 궁금합니다(특히 c)
c가 배열의 위치가 맞나요? 그러면 단순히 i=c 의 위치만 넣어서 출력되는 배열을 바꿀수도 있나요?
2. 처음에 배열 A를 선언할때 A(i) 에서 i는 배열의 개수를 뜻하는게 맞나요?
3. p74에서 12번에 K=11-C 에서 2진수가 들어 있는 첫 번째 위치를 계산한다 라고하는데
어떻게되길래 첫번째 위치가 나오는건가요?
플로차트 너무 어려운것같습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둔 자료, 혹은 책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변환된 값이 배열에 저장될 때 C의 값이 1씩 증가되면서 저장됩니다.
예를 들어 변환된 값이 0 1 1 1 1이라면
C가 1일 때 A(C) 배열, 즉 A(1)에 0이 저장되고
C가 2일 때 A(C) 배열, 즉 A(2)에 1이 저장되고
C가 3일 때 A(C) 배열, 즉 A(3)에 1이 저장되고
C가 4일 때 A(C) 배열, 즉 A(4)에 1이 저장되고
C가 5일 때 A(C) 배열, 즉 A(5)에 1이 저장됩니다.
마지막 값이 저장될 때 C는 5입니다.
이제 출력할 때 배열의 값을 거꾸로 출력합니다.
마지막 위치가 C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반복변수 i를 C에서 시작해서 1이 될때까지 -1씩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i를 C부터 -1씩 증가시키면 다음과 같습니다.
C가 5이므로 i의 초기값은 5입니다.
i가 5일 때 A(i) 배열, 즉 A(5)에 저장된 1을 출력합니다.
i가 4일 때 A(i) 배열, 즉 A(4)에 저장된 1을 출력합니다.
i가 3일 때 A(i) 배열, 즉 A(3)에 저장된 1을 출력합니다.
i가 2일 때 A(i) 배열, 즉 A(2)에 저장된 1을 출력합니다.
i가 1일 때 A(i) 배열, 즉 A(1)에 저장된 0을 출력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4-19 09:16:52
안녕하세요.
변환된 값이 배열에 저장될 때 C의 값이 1씩 증가되면서 저장됩니다.
예를 들어 변환된 값이 0 1 1 1 1이라면
C가 1일 때 A(C) 배열, 즉 A(1)에 0이 저장되고
C가 2일 때 A(C) 배열, 즉 A(2)에 1이 저장되고
C가 3일 때 A(C) 배열, 즉 A(3)에 1이 저장되고
C가 4일 때 A(C) 배열, 즉 A(4)에 1이 저장되고
C가 5일 때 A(C) 배열, 즉 A(5)에 1이 저장됩니다.
마지막 값이 저장될 때 C는 5입니다.
이제 출력할 때 배열의 값을 거꾸로 출력합니다.
마지막 위치가 C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반복변수 i를 C에서 시작해서 1이 될때까지 -1씩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i를 C부터 -1씩 증가시키면 다음과 같습니다.
C가 5이므로 i의 초기값은 5입니다.
i가 5일 때 A(i) 배열, 즉 A(5)에 저장된 1을 출력합니다.
i가 4일 때 A(i) 배열, 즉 A(4)에 저장된 1을 출력합니다.
i가 3일 때 A(i) 배열, 즉 A(3)에 저장된 1을 출력합니다.
i가 2일 때 A(i) 배열, 즉 A(2)에 저장된 1을 출력합니다.
i가 1일 때 A(i) 배열, 즉 A(1)에 저장된 0을 출력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