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 알고리즘 1번 답이1인데 강의들을때 무언가의 +1이란게 들어가면 초기값을 0을 준다하였는데 1인게 궁금하네요
3번 답이 A+B인데 교환할때는 대각선으로 생각하면 쉽다 하였는데 그러지 않은게 Z값이 가상의변수가 아니라 그런건가요?
5번답이 왜 10인지도 궁금합니다
모의고사2회에서 1번답이 M N K인데 이것의 각각의변수가 1 5 1 입니다 숫자로 작성하여도 틀린답인지 궁금합니다
평소에 반복문보면 알파벳이아닌 숫자로 기입되어있던데...
따로 해설이 존재하지않아 궁금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여기서 C는 회전수 인데 .. A와 B에 1을 저장하고 시작한다는 것은 배열의 첫번째 항에 들어갈 1을 미리 저장하고 시작하는 것으로
1회전을 수행했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러므로 회전수를 지정하는 C에 1을 초기값으로 하고 바로 +1을 수행하여 2회전을 대비하는 것입니다.
중간에 CT<2에서 Yes가 되어 배열의 첫 번째 항에 1을 저장하는 과정이 수행됩니다.
또한 5번이 10인 것은 대각선 방향으로 피보나치 수열을 채울 때 1에서 9까지 9회전을 수행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회전수를 저장하는 변수 C가 10보다 작은 동안 즉 1~9까지 반복해야 하는 것이죠.
별도의 답안 작성 조건이 제시되지 않는다면, 숫자로 1, 5, 1을 작성해도 맞게 채점됩니다.
단 변수를 이용해서 답안을 작성하라는 조건이 있다면 반드시, M, N, K로 해야 하고, 상수로 작성하라는 조건이 있다면 반드시 1, 5, 1로 작성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11-21 09:27:01
안녕하세요.
여기서 C는 회전수 인데 .. A와 B에 1을 저장하고 시작한다는 것은 배열의 첫번째 항에 들어갈 1을 미리 저장하고 시작하는 것으로
1회전을 수행했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러므로 회전수를 지정하는 C에 1을 초기값으로 하고 바로 +1을 수행하여 2회전을 대비하는 것입니다.
중간에 CT<2에서 Yes가 되어 배열의 첫 번째 항에 1을 저장하는 과정이 수행됩니다.
또한 5번이 10인 것은 대각선 방향으로 피보나치 수열을 채울 때 1에서 9까지 9회전을 수행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회전수를 저장하는 변수 C가 10보다 작은 동안 즉 1~9까지 반복해야 하는 것이죠.
별도의 답안 작성 조건이 제시되지 않는다면, 숫자로 1, 5, 1을 작성해도 맞게 채점됩니다.
단 변수를 이용해서 답안을 작성하라는 조건이 있다면 반드시, M, N, K로 해야 하고, 상수로 작성하라는 조건이 있다면 반드시 1, 5, 1로 작성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