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배열은 항상 앞에서부터 자리 위치가 지정됩니다.
S[1] ~ S[8]까지 앞에서 부터 이진수가 저장되어 있게 됩니다.
이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할 때 각 자리의 가중치 값을 이용하여 변환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풀어보세요.
이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할 때는
소수점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으로 가중치를 위한 자리 위치가 0, 1, 2, 3, 4, 5, 6, .... 이 됩니다.
맨 앞은 부호 비트라고 했으니 실제 자료를 7개만 처리하면 됩니다.
00101011 이 기억되어 있다면
0 0 1 0 1 0 1 1
부호로 양수 0*2의 6자리 + 1*2의 5자리 + 0*2의 4자리 + 1*2의 3자리 + 0*2의2자리 + 1*2의 1자리 + 1*2의 0자리
로
= 0*64 + 1*32 + 0*16 + 1*8 + 0*4 + 1*2 + 1*1
= 0 + 32 + 0 + 8 + 0 + 2 + 1
= 43
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8-21 10:05:39
안녕하세요.
배열은 항상 앞에서부터 자리 위치가 지정됩니다.
S[1] ~ S[8]까지 앞에서 부터 이진수가 저장되어 있게 됩니다.
이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할 때 각 자리의 가중치 값을 이용하여 변환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풀어보세요.
이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할 때는
소수점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으로 가중치를 위한 자리 위치가 0, 1, 2, 3, 4, 5, 6, .... 이 됩니다.
맨 앞은 부호 비트라고 했으니 실제 자료를 7개만 처리하면 됩니다.
00101011 이 기억되어 있다면
0 0 1 0 1 0 1 1
부호로 양수 0*2의 6자리 + 1*2의 5자리 + 0*2의 4자리 + 1*2의 3자리 + 0*2의2자리 + 1*2의 1자리 + 1*2의 0자리
로
= 0*64 + 1*32 + 0*16 + 1*8 + 0*4 + 1*2 + 1*1
= 0 + 32 + 0 + 8 + 0 + 2 + 1
= 43
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