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앞선 질문과 맥락을 같이하는 내용으로 디버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순서도는 처리하고 비교하는 구조입니다.
별책 119 해설의 ④번 A = A + 1에 의해 A가 10이 되었다고 가정하면
A : 10에서 아래쪽이 아닌 다시 한 번 위쪽으로 이동하여 처리를 해야 합니다. A가 10일 때까지 처리를 해야 하기 때문이죠.
그러기 위해서 A:10의 종료기준값에서는 A가 10과 같은 경우도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처리하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A가 10보다 작은 동안에서 계속 처리를 해 왔으므로 왼쪽 방향은 <= 이 되어 A<=10 인 동안은 계속 처리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죠.
A>10이 되어 A가 10보다 커지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HAP을 출력하고 종료하게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7-28 09:26:39
안녕하세요.
앞선 질문과 맥락을 같이하는 내용으로 디버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순서도는 처리하고 비교하는 구조입니다.
별책 119 해설의 ④번 A = A + 1에 의해 A가 10이 되었다고 가정하면
A : 10에서 아래쪽이 아닌 다시 한 번 위쪽으로 이동하여 처리를 해야 합니다. A가 10일 때까지 처리를 해야 하기 때문이죠.
그러기 위해서 A:10의 종료기준값에서는 A가 10과 같은 경우도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처리하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A가 10보다 작은 동안에서 계속 처리를 해 왔으므로 왼쪽 방향은 <= 이 되어 A<=10 인 동안은 계속 처리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죠.
A>10이 되어 A가 10보다 커지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HAP을 출력하고 종료하게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