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책에 수록된 알고리즘 모의고사 문제를 풀다 보면 헷갈리는 점이 생기는데
어떤 문제(ex.224p)에서는 그 문제에서 쓰이는 배열 이름을 A라고 치면 A(1)~부터 쓰는 경우가 있고
또다른 문제(ex.222p)에서는 A(0)~부터 배열을 쓰기 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문제는 222p 같은 경우에도 배열을 A(0)부터 쓰는지 A(1)부터 쓰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 모의고사 문제들이 이미 기출된 것이라서 더 불안한데 실제 시험에서도 배열에 대한 설명이 나오지 않나요?
그래서 문제에서 배열을 어떻게 쓰는지에 대해 구분을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이 잘 오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배열의 시작 위치는 프로그램 언어마다 다르므로 순서도에서는 배열을 사용할 때 배열의 시작 위치를 처리조건에 제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배열의 위치를 순서도의 흐름 상에서 파악하는 것도 시험의 일부로 여기는 경우 이러한 조건 제시가 생략될 수 있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처리조건을 먼저 확인하세요. 배열의 시작 위치가 제시될 수 있습니다.
제시되지 않았다면 배열의 위치를 나타내는 첨자 변수의 초기값과 초기 증가값을 이용해 시작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배열의 첨자 변수가 초기값으로 0으로 주어지고 초기 증가가 1이 된 상태에서 사용된다면 배열의 시작 위치는 1이 됩니다.
배열의 첨자 변수가 초기값으로 0으로 주어지고 초기 증가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우선 사용된다면 배열의 시작 위치는 0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7-07 09:14:54
안녕하세요.
배열의 시작 위치는 프로그램 언어마다 다르므로 순서도에서는 배열을 사용할 때 배열의 시작 위치를 처리조건에 제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배열의 위치를 순서도의 흐름 상에서 파악하는 것도 시험의 일부로 여기는 경우 이러한 조건 제시가 생략될 수 있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처리조건을 먼저 확인하세요. 배열의 시작 위치가 제시될 수 있습니다.
제시되지 않았다면 배열의 위치를 나타내는 첨자 변수의 초기값과 초기 증가값을 이용해 시작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배열의 첨자 변수가 초기값으로 0으로 주어지고 초기 증가가 1이 된 상태에서 사용된다면 배열의 시작 위치는 1이 됩니다.
배열의 첨자 변수가 초기값으로 0으로 주어지고 초기 증가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우선 사용된다면 배열의 시작 위치는 0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