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8세인 아저씨이고요
자격증 공부을 하던중 정보처리 자격증에 도전하여 필기는 기출문제지로 공부하여 겨우 턱걸이~
실기는 시나공 실기책을 구매해 토막강의 반복하여 10번정도는 강의를 듣고 책을 접하였으나
수열 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수학" 부터는 전혀 이해가 되지 않는군요~
지금 와서 포기하자니 자신에 대한 부끄럼과 앞으로 다른 자격증 공부하는데 실패감~
비전공자이며 학창시절 수학 하고는 담을 쌓은 이가 포기하지 않고 계속 공부를 하려면
지금 이 시점에서 어떻게 공부를 하면 좋을까요??
부탁 드립니다^^
저의 막힌 숨통을 뚫어줄 시원한 멘토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보처리를 준비하는 약 80% 이상이 비 전공자입니다.
그러한 비 전공자들의 눈높이에 맞게 교재를 구성하였지만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낯설기 때문입니다.
외국어를 공부하는 것과 동일하죠. 방법은 하나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익숙해 지는 것입니다.
합격하신 분들의 합격수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반드시 감이 오는 시간이 있습니다.
처음부터 내용을 이해하려고 접근하면 막연하고 어렵습니다.
처음 몇 번은 교재를 그냥 쭈~욱 읽으세요. 교재의 수록된 단어들이나 문장들이 익숙해 지도록 그렇게 몇 번 교재를 읽고 나면 어느 순간 교재이 내용들이 익숙해 지게 됩니다. 그런 다음부터는 정독을 하여 내용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알고리즘의 이해를 먼저 충분히 이해를 한 후 그 내용을 순서도의 흐름에 맞추서 연관지으면서 학습을 하다보면 모든 알고리즘이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 것이 파악되고 그러한 파악 시간이 점점 짧아지게 됩니다.
알고리즘이 비전공자에게 어렵기는 하지만 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미 합격한 여러 수험생들의 합격수기를 통해 학습 방향이나 전략에서 도움을 받으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왼쪽의 커뮤니티 - 합격전략/수기 코너를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2-22 09:16:19
안녕하세요.
정보처리를 준비하는 약 80% 이상이 비 전공자입니다.
그러한 비 전공자들의 눈높이에 맞게 교재를 구성하였지만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낯설기 때문입니다.
외국어를 공부하는 것과 동일하죠. 방법은 하나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익숙해 지는 것입니다.
합격하신 분들의 합격수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반드시 감이 오는 시간이 있습니다.
처음부터 내용을 이해하려고 접근하면 막연하고 어렵습니다.
처음 몇 번은 교재를 그냥 쭈~욱 읽으세요. 교재의 수록된 단어들이나 문장들이 익숙해 지도록 그렇게 몇 번 교재를 읽고 나면 어느 순간 교재이 내용들이 익숙해 지게 됩니다. 그런 다음부터는 정독을 하여 내용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알고리즘의 이해를 먼저 충분히 이해를 한 후 그 내용을 순서도의 흐름에 맞추서 연관지으면서 학습을 하다보면 모든 알고리즘이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 것이 파악되고 그러한 파악 시간이 점점 짧아지게 됩니다.
알고리즘이 비전공자에게 어렵기는 하지만 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미 합격한 여러 수험생들의 합격수기를 통해 학습 방향이나 전략에서 도움을 받으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왼쪽의 커뮤니티 - 합격전략/수기 코너를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