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아직 이해를 잘못한건진 몰라도 일단 기본 알고리즘은 다이해햇거든요
그런데 이 123p 부분
M이 입력 받은 점수의 개수가 저장될 변수(점수를 입력받을때 사용)
N이 입력 받은 점수의 개수가 저장될 변수(석차를 구하는 과정에서 사용) 이 두변수에 대해서 질문드릴게요
123p알고리즘을 보시면
동그라미 4번있자나요 Jumsu(M) 석차를 구할 점수를 입력 받는다 라고 되있고
동그라미 6번이 N=10 점수의 개수(10)를 저장한다. 라고 되있는데
M,N은 단순히 점수의 개수의 변수 인데
JUMSU(M)이 왜 그 JUMSU배열에 점수를 넣는건지 이해가 안가서요
안녕하세요.
이 알고리즘은 10명의 점수를 입력받아 그 점수들의 석차를 구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석차를 구하기 전에 우선 점수를 입력받아 저장을 해 두어야 합니다.
JUMSU라는 배열에 저장을 하는 것이죠.
그 과정이 동그라미 3 ~ 5번까지의 과정입니다.
M이 1인 상태에서 JUMSU(M), 즉 JUMSU(1)에 첫번째 점수를 입력받습니다.
그런다음 M이 10보다 작은지를 검사해 작으면 M을 증가시킨 후 그 다음 배열에 두 번째 점수를 입력받습니다.
이렇게 하여 10명의 점수를 각각 JUMSU(1) ~ JUMSU(10)에 모두 저장한 후
그 아래쪽에서 JUMSU 배열에 저장된 값을 비교하면서 각각의 석차를 구하는 것입니다.
아래쪽에서도 10명의 점수를 비교하면서 석차를 구해야 하므로 N에 10을 저장하여 N을 10 대신 사용합니다.
석차를 구하기 전 10명은 모두 1등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석차 배열에 모두 1을 저장합니다.
이후 점수를 비교하여 나보다 높은 사람이 있으면 내 기존 등수 1에 +1씩 하여 석차를 뒤로 밀리게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10-13 09:17:46
안녕하세요.
이 알고리즘은 10명의 점수를 입력받아 그 점수들의 석차를 구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석차를 구하기 전에 우선 점수를 입력받아 저장을 해 두어야 합니다.
JUMSU라는 배열에 저장을 하는 것이죠.
그 과정이 동그라미 3 ~ 5번까지의 과정입니다.
M이 1인 상태에서 JUMSU(M), 즉 JUMSU(1)에 첫번째 점수를 입력받습니다.
그런다음 M이 10보다 작은지를 검사해 작으면 M을 증가시킨 후 그 다음 배열에 두 번째 점수를 입력받습니다.
이렇게 하여 10명의 점수를 각각 JUMSU(1) ~ JUMSU(10)에 모두 저장한 후
그 아래쪽에서 JUMSU 배열에 저장된 값을 비교하면서 각각의 석차를 구하는 것입니다.
아래쪽에서도 10명의 점수를 비교하면서 석차를 구해야 하므로 N에 10을 저장하여 N을 10 대신 사용합니다.
석차를 구하기 전 10명은 모두 1등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석차 배열에 모두 1을 저장합니다.
이후 점수를 비교하여 나보다 높은 사람이 있으면 내 기존 등수 1에 +1씩 하여 석차를 뒤로 밀리게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