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질문좀드릴게요
도서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페이지
194
조회수
124
작성일
2016-09-19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p.194

A(i)를 B(i+2)에 입력하면 A(i)가 사라지는 것인가요? i가 1부터 12까지 차례대로 입력할 테니까 A(12)=0이어도 되지 않을까요?

p.183

Mok=p/tmp(Q)로 되어있는데, 앞에 INT()가 빠진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p.175

4번 정답이 J=J+1인데, J=6으로 써도 맞는지가 궁금합니다

p.134

14번 문항.. 왜 바로 DD에 가지 않나요?

p.102

0비트가 0, 1을 나타내는 것인가요? 부호비트 포함한 8비트 숫자를 K=2^6부터 계산하니까 궁금해졌어요

답변
2016-09-20 09:22:34

안녕하세요.

1)

B(i+2)에 A(i)의 값을 저장해도 A(i)의 값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배열의 첫 번째 요소로 0을 입력받으면 계산 후 결과를 출력한다고 했으니

12자리 숫자 중 첫 번째 자리가 0이면 입력을 종료하고 계산 후 결과를 출력합니다.

물론 12자리에 모두 0을 입력받으면 계산 후 결과를 출력한다고 문제를 변경해서 처리해도 되지만

그런 경우 마지막 입력 시 A(2)~A(12)까지 의미없는 0 입력을 반복하게 됩니다.

2)

처리조건 ④번에 '/' 연산자의 역할이 소수점 이하는 자동으로 절삭된다고 하였습니다. 즉 INT 함수를 사용한 것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죠.

3)

결과가 동일한 경우에는 모두 정답처리되지만 문제의 처리조건에 배열의 열 위치를 지정하는 변수를 이용해서 구현하라거나, 배열의 크기를 5로 고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J=J+1을 사용해야 합니다. 즉 실제 시험에서는 문제의 내용이나 처리조건에 제시된 내용을 꼼꼼하게 확인한 후 문제를 해결해야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4)

동그리마 14번으로 온 경우는 앞선 13번 동그라미에서 A(i)가 0이 아닌 경우로 A 배열에 아직 자료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14번으로 온 것입니다. 즉 A 배열에 아직 자료가 남은 상태에서 B(J)가 0, 즉 B 배열의 자료가 모두 처리된 것이므로 이젠 남은 A 배열의 값을 C 배열로 옮기는 작업만 수행하면 됩니다. 그래서 CC로 이동한 것입니다. CC로 이동해서 남은 A 배열의 값을 C 배열로 모두 옮긴 후에야 D 배열로 가는 것이죠.

5)

부호를 제외한 두 번째 위치를 지정해야 하며 자리의 가중치 값은 0부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즉 1의 자리는 2의 0승, 2의 자리는 2의 1승, 3의 자리는 2의 2승 ... 6의 자리는 2의 5승, 7의 자리는 2의 6승, 8의 자리는 부호

그래서 부호를 제외한 7의 자리부터 2의 6승이 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6-09-20 09:22:34

    안녕하세요.

    1)

    B(i+2)에 A(i)의 값을 저장해도 A(i)의 값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배열의 첫 번째 요소로 0을 입력받으면 계산 후 결과를 출력한다고 했으니

    12자리 숫자 중 첫 번째 자리가 0이면 입력을 종료하고 계산 후 결과를 출력합니다.

    물론 12자리에 모두 0을 입력받으면 계산 후 결과를 출력한다고 문제를 변경해서 처리해도 되지만

    그런 경우 마지막 입력 시 A(2)~A(12)까지 의미없는 0 입력을 반복하게 됩니다.

    2)

    처리조건 ④번에 '/' 연산자의 역할이 소수점 이하는 자동으로 절삭된다고 하였습니다. 즉 INT 함수를 사용한 것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죠.

    3)

    결과가 동일한 경우에는 모두 정답처리되지만 문제의 처리조건에 배열의 열 위치를 지정하는 변수를 이용해서 구현하라거나, 배열의 크기를 5로 고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J=J+1을 사용해야 합니다. 즉 실제 시험에서는 문제의 내용이나 처리조건에 제시된 내용을 꼼꼼하게 확인한 후 문제를 해결해야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4)

    동그리마 14번으로 온 경우는 앞선 13번 동그라미에서 A(i)가 0이 아닌 경우로 A 배열에 아직 자료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14번으로 온 것입니다. 즉 A 배열에 아직 자료가 남은 상태에서 B(J)가 0, 즉 B 배열의 자료가 모두 처리된 것이므로 이젠 남은 A 배열의 값을 C 배열로 옮기는 작업만 수행하면 됩니다. 그래서 CC로 이동한 것입니다. CC로 이동해서 남은 A 배열의 값을 C 배열로 모두 옮긴 후에야 D 배열로 가는 것이죠.

    5)

    부호를 제외한 두 번째 위치를 지정해야 하며 자리의 가중치 값은 0부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즉 1의 자리는 2의 0승, 2의 자리는 2의 1승, 3의 자리는 2의 2승 ... 6의 자리는 2의 5승, 7의 자리는 2의 6승, 8의 자리는 부호

    그래서 부호를 제외한 7의 자리부터 2의 6승이 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