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V는 출발요일이 저장되는 변수입니다.
예를 들어 월요일에 도착한 비행기가 있는데, 이 비행기의 대기일수가 3일이라면 이 비행기는 목요일에 출발합니다.
즉 월요일 도착은 WA(0)로 i가 0인 상태이며, 대기일수는 LD(0)이 3이라는 의미입니다.
7로 나누는 것이 의미가 있어지는 경우는 대기일수가 7일 이상인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월요일에 도착한 비행기의 대기일수가 8일인 경우인데, 대기일수가 8일이면 이 비행기는 화요일에 출발합니다.
즉 WA(0)로 i가 0인 상태이며, 대기일수는 LD(0)이 8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럼
V = i+LD(i) 이므로 V = 0 + 8이 됩니다.
그 다음
V = MOD(V, 7)로 인해 V는 1이 됩니다.
그 다음
WD(V) = 1, 즉 WD(1) = 1이 됩니다. WD(1)은 화요일을 의미하며 WD(V)에 1을 저장하는 것은 그 요일에 출발할 비행기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위 내용을 참조하여 순서도의 빈 괄호를 모두 채운 후 디버깅을 수행하면서 각 과정을 살펴보세요.
알고리즘이 이해가 잘 안되는 경우에는 빈 괄호를 채운 후 디버깅을 수행하는 것도 하나의 이해 방법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4-11 09:57:44
안녕하세요.
V는 출발요일이 저장되는 변수입니다.
예를 들어 월요일에 도착한 비행기가 있는데, 이 비행기의 대기일수가 3일이라면 이 비행기는 목요일에 출발합니다.
즉 월요일 도착은 WA(0)로 i가 0인 상태이며, 대기일수는 LD(0)이 3이라는 의미입니다.
7로 나누는 것이 의미가 있어지는 경우는 대기일수가 7일 이상인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월요일에 도착한 비행기의 대기일수가 8일인 경우인데, 대기일수가 8일이면 이 비행기는 화요일에 출발합니다.
즉 WA(0)로 i가 0인 상태이며, 대기일수는 LD(0)이 8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럼
V = i+LD(i) 이므로 V = 0 + 8이 됩니다.
그 다음
V = MOD(V, 7)로 인해 V는 1이 됩니다.
그 다음
WD(V) = 1, 즉 WD(1) = 1이 됩니다. WD(1)은 화요일을 의미하며 WD(V)에 1을 저장하는 것은 그 요일에 출발할 비행기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위 내용을 참조하여 순서도의 빈 괄호를 모두 채운 후 디버깅을 수행하면서 각 과정을 살펴보세요.
알고리즘이 이해가 잘 안되는 경우에는 빈 괄호를 채운 후 디버깅을 수행하는 것도 하나의 이해 방법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