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사실은 디버깅 자체가 문제인거같기도 해요.
알고리즘에 넣는 빈칸은 거의 안 틀리는데,
디버깅이 문제입니다.
제가 생각한 디버깅은,
A B C HAP CNT
1 1 null 2 2
1 2 2 4 3
2 3 3 7 4
3 5 5 12 5
5 8 8 20 6
8 13 13 33 7
이렇게 적었는데요, 정답은 그렇지가 않네요.
디버깅할 때 넣어야할 값을 쓰는건지 대입해서 나온 값들을 써야하는건지 무지 헷갈려요.
디버깅을 할때 무슨 값을 적어야하는 지 모르겠습니다.
분명 저렇게 적어도 맞는거같은데 아니네요..
안녕하세요.
디버깅은 채점 대상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디버깅에 정확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죠.
교재에는 디버기을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변수의 가로 위치는 무시하고 세로의 값 변화들만 빈 공간 없이 이어서 작성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특정 변수의 값을 기준으로 다른 변수의 가로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또한 디버깅은 무조건 끝까지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순서도의 빈 괄호를 채울 수 있을 만큼의 반복 패턴이 확인되면 그만해도 되는 것이죠.
그러니 택용님께서 수행한 방법으로 순서도의 빈 괄호를 채웠다면 잘못 디버깅 한게 아닙니다. 방법이 조금 다를 뿐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4-08 09:20:45
안녕하세요.
디버깅은 채점 대상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디버깅에 정확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죠.
교재에는 디버기을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변수의 가로 위치는 무시하고 세로의 값 변화들만 빈 공간 없이 이어서 작성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특정 변수의 값을 기준으로 다른 변수의 가로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또한 디버깅은 무조건 끝까지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순서도의 빈 괄호를 채울 수 있을 만큼의 반복 패턴이 확인되면 그만해도 되는 것이죠.
그러니 택용님께서 수행한 방법으로 순서도의 빈 괄호를 채웠다면 잘못 디버깅 한게 아닙니다. 방법이 조금 다를 뿐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