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의 부호비트를 4비트로쓰는이유 (1비트로 1,0 로 양수,음수 표시하면 안되나요?)
*컴퓨터가 사람이 쓰는 덧셈뺄셈연산을 냅두고 보수로 연산을 하는이유가 뭔가요?
비트대비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서? 더 간편해서?
*보수방식을 안쓰면 현재의 컴퓨터는 뺄셈이 불가능한가요?
*오버플로우 발생시 해당 레지스터의 값은 어떻게되나요?
*언팩 연산을 쓰는 이유가뭔가요? 팩연산만 쓰면 되지 않나요?
존 비트마다 1111을 표시하는게 가용 비트수만 늘리고 연산도 불가능하게하는데
어떤 이점이있어서 쓰는지 궁금합니다
* 68쪽 3번문제 해설에
보기의 숫자 길이에 맞게 0을추가해 비트 수를 채우라고되있는데
그렇게 하는 이유와 보기의 비트수가 각각 다를땐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1)
보수에서 부호비트는 맨 왼쪽의 1비트를 사용합니다.
2)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가산(더하기)기를 이용해 연산을 수행하는데, 더하는 연산을 이용해 뺄셈을 처리하기 위해 보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3)
오버플로 발생 시 어느 레지스터를 질문하시는 건지?
오버플로가 발생하면 추가적으로 삽입되는 값이 저장되지 못하게 되며 기본 값이 유지되게 됩니다.
4)
언팩 연산은 존비트가 있어 연산이 불가능합니다. 그러므로 데이터의 입출력 용으로 사용합니다.
언팩 연산은 연산이 불가능하지만 존 비트를 통해 자리 구분이 쉽고 간단한 단계를 통해 10진수와 2진수 사이의 변환이 쉽다는 이유로 입출력 용도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연산이 불가능한 언팩의 단점을 보완하여 연산이 가능하도록 존 비트를 제외한 팩 형식을 만들어 사용한 것입니다.
5)
보기의 숫자 길이가 공통적인 8비트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비트수를 맞춰 표현한 것입니다.
보기의 숫자 길이가 다르게 제시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6-07 10:02:40
안녕하세요.
1)
보수에서 부호비트는 맨 왼쪽의 1비트를 사용합니다.
2)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가산(더하기)기를 이용해 연산을 수행하는데, 더하는 연산을 이용해 뺄셈을 처리하기 위해 보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3)
오버플로 발생 시 어느 레지스터를 질문하시는 건지?
오버플로가 발생하면 추가적으로 삽입되는 값이 저장되지 못하게 되며 기본 값이 유지되게 됩니다.
4)
언팩 연산은 존비트가 있어 연산이 불가능합니다. 그러므로 데이터의 입출력 용으로 사용합니다.
언팩 연산은 연산이 불가능하지만 존 비트를 통해 자리 구분이 쉽고 간단한 단계를 통해 10진수와 2진수 사이의 변환이 쉽다는 이유로 입출력 용도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연산이 불가능한 언팩의 단점을 보완하여 연산이 가능하도록 존 비트를 제외한 팩 형식을 만들어 사용한 것입니다.
5)
보기의 숫자 길이가 공통적인 8비트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비트수를 맞춰 표현한 것입니다.
보기의 숫자 길이가 다르게 제시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