ㅊ
2진연산에 관해 책을보던중에 , 부호화2의 보수방식 구하는방법의 예제가 이해가 잘되지않아서 , 질문합니다.
2의보수 구하기의 방법 두가지중 방법1을 사용하는것과 , 방법2를 사용하는것의 구분은 어떻게하는건가요?
예제의 부호화 2의 보수방식은 방법2를 사용한것 같은데 , 왜방법 2를 사용한건지 ....
언제 방법1을 사용하고 , 언제 방법2를 사용하는지 이해가잘 안가네요..
안녕하세요.
두 방법을 사용하는 기준은 없습니다. 본인의 쉽게 이해한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10101 을 2의 보수로 변환하는 본래의 방법은 1의 보수로 변환한 다음 1을 더하는 것입니다.
10101
1의 보수로 변환하면 : 01010
1의 보수에 +1을 하면 : 01011
이렇게 변하는 과정의 원리를 파악해 보면
본래의 값 10101 에서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처음 1이 나올 때까지는 그대로 써주고 나머지는 0은 1로, 1은 0으로 표현하는 원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방법 2를 만들어낸 것이죠.
오른쪽 맨 끝의 값이 1이므로 오른쪽 마지막 1만 그대로 써주고 나머지는 1은 0, 0은 1로 써주면
01011이 됩니다. 방법2의 원리를 알면 좀더 빠르게 2의 보수를 구할 수 있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3-07 09:23:55
안녕하세요.
두 방법을 사용하는 기준은 없습니다. 본인의 쉽게 이해한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10101 을 2의 보수로 변환하는 본래의 방법은 1의 보수로 변환한 다음 1을 더하는 것입니다.
10101
1의 보수로 변환하면 : 01010
1의 보수에 +1을 하면 : 01011
이렇게 변하는 과정의 원리를 파악해 보면
본래의 값 10101 에서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처음 1이 나올 때까지는 그대로 써주고 나머지는 0은 1로, 1은 0으로 표현하는 원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방법 2를 만들어낸 것이죠.
오른쪽 맨 끝의 값이 1이므로 오른쪽 마지막 1만 그대로 써주고 나머지는 1은 0, 0은 1로 써주면
01011이 됩니다. 방법2의 원리를 알면 좀더 빠르게 2의 보수를 구할 수 있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