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3번째 설명처럼 무한 연기 상태가 되려면 SRT가 되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왜 SJF인지 이해가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SRT는 비선점 스케줄링인 SJF 기법을 선점 형태로 변경한 기법입니다
SRT(Shortest Remaining Time)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남은 시간과 준비상태 큐에 새로 도착한 프로세스의 실행 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짧은 실행 시간을 요구하는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함
SJF(Shortest Job First) : 준비상태 큐에서 기다리고 있는 프로세스들 중에서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게 먼저 CPU를 할당하는 기법
아래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보시면 "준비상태 큐에서 기다리고 있는 프로세스들 중에서 실행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게 먼저 CPU를 할당하는 기법"이라고 되어있습니다
회원님께서 말씀하신 "실행 시간이 긴 프로세스는 실행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에게 할당 순위가 밀려 무한 연기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라는것은
SRT, SJF 둘다 새로 도착한 프로세스가 실행시간이 짧을 경우 우선순위에서 계속 밀려 무한연기 상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5-07-08 16:59:5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SRT는 비선점 스케줄링인 SJF 기법을 선점 형태로 변경한 기법입니다
SRT(Shortest Remaining Time)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남은 시간과 준비상태 큐에 새로 도착한 프로세스의 실행 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짧은 실행 시간을 요구하는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함
SJF(Shortest Job First) : 준비상태 큐에서 기다리고 있는 프로세스들 중에서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게 먼저 CPU를 할당하는 기법
아래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보시면 "준비상태 큐에서 기다리고 있는 프로세스들 중에서 실행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게 먼저 CPU를 할당하는 기법"이라고 되어있습니다
회원님께서 말씀하신 "실행 시간이 긴 프로세스는 실행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에게 할당 순위가 밀려 무한 연기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라는것은
SRT, SJF 둘다 새로 도착한 프로세스가 실행시간이 짧을 경우 우선순위에서 계속 밀려 무한연기 상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