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기책 하나만 믿고 기출문제,모의고사 다 풀고 시험쳤는데 필기에서 나왔던 내용이나
처음보거나 실기책에 없는 내용이 너무 많이 나왔습니다..
4. 오류 제어 방식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전진 에러 수정)
6.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용어(필기-이상과 이상종류 갱신)
정규화
이상
갱신
BCNF
9. 축적 교환 방식 종류(필기에 가상 회선 방식, 데이터그램 방식 나오고 메시지 교환방식 안나옴)
ㄱ.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방식
ㄴ. 메시지 교환 방식
ㄷ. 가상 회선 방식
ㄹ. 데이터그램 방식
10. 운영체제 관련 용어
디스패처
작업 스케줄러
프로세스 스케줄러
트래픽 제어기
12. HDLC 프로토콜(필기)
14. 테스트 관련 용어(실기)
코드 인스펙션
-본문에는 단어만, 책의 가장자리에 설명 '전문가의 조언'과 문제내용에 일치하는게 정적테스트뿐
같은 정적테스트인 워크스루도 '전문가의 조언'에 있지만 그것만으로 구별할 방법이 없음
15. Python의 pop()(실기)
세트의 pop() 사용시 어떤 요소가 출력되고 삭제될지 알 수 없습니다. 라고 실기책에 나와있는데
리스트의 pop()은 마지막 원소를 리턴하고 삭제한다는 설명이 없음
17. 운영체제 관련 용어
인터럽트, 스레딩, 버퍼링, BIOS, 페이징
18. C언어 malloc(),strcpy()함수
위처럼 실기책엔 없고 필기책엔 있는 내용이나 둘다 없는내용도 꽤 있었는데요
2회를 다시 이책보고 시험보는게 맞나 싶네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교재로 공부하시는데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측에서 시험 출제 범위가 간략하게만 제공되기 때문에,
제공되는 출제 범위와 실제 출제되는 내용의 범위를 맞춰서 내용을 구성하는데는 어려움이 많습니다
출제 범위에 언급된 모든 이론적인 내용을 모두 다 교재에 넣으면 교재의 양만 많아 지고 공부해야 하는 분량만 많아 집니다
해서 시험 준비하는 수험생들의 시간도 고려해서 적절한 분량을 선정하고 최대한 시험 출제 가능 범위를 예측해서 내용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교재에서도 언급하지만 시험이 변경된 이후에는 필기와 실기의 구분이 모호해서 실기를 준비하면서도 이해안되는 부분들은 필기의 내용을 참고해서 다시 한번 정리하셔야 합니다
이번에 문제가 된 부분이 대부분 필기 1과목 1장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부분인데 . 이 부분에 대한 출제 기준은
1장 운영체제 기초 활용
1. 운영체제 개념
2. 운영체제 종류 및 특징
3. 운영체제 기본명령어
4. 쉘 스크립트(Shell Script)
2장 네트워크 기초 활용
1. 프로토콜
2. OSI-7 계층
3. 인터넷 구성
4. TCP/UDP
5. IP 주소 체계
3장 기본 개발환경 구축
1. 개발자 개발환경 구축
2. 개발도구 설치
3. 라이브러리 패키지 설치
4. 소프트웨어 버전관리 도구 설치
이렇게만 되어있습니다.
실제 문제를 출제하시는 출제자분들은 문제를 출제해 놓고 다 범위에 포함된다고 하겠지만 교재를 만드는 입장에서는 이럴때가 제일 애매합니다
출제 기준 자체가 간략한 출제 기준이지만 이를 토대로 출제 가능한 내용들을 선별하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더욱 더 노력하여 시험 적중률을 높일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관리자2024-07-19 11:58:58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교재로 공부하시는데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측에서 시험 출제 범위가 간략하게만 제공되기 때문에,
제공되는 출제 범위와 실제 출제되는 내용의 범위를 맞춰서 내용을 구성하는데는 어려움이 많습니다
출제 범위에 언급된 모든 이론적인 내용을 모두 다 교재에 넣으면 교재의 양만 많아 지고 공부해야 하는 분량만 많아 집니다
해서 시험 준비하는 수험생들의 시간도 고려해서 적절한 분량을 선정하고 최대한 시험 출제 가능 범위를 예측해서 내용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교재에서도 언급하지만 시험이 변경된 이후에는 필기와 실기의 구분이 모호해서 실기를 준비하면서도 이해안되는 부분들은 필기의 내용을 참고해서 다시 한번 정리하셔야 합니다
이번에 문제가 된 부분이 대부분 필기 1과목 1장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부분인데 . 이 부분에 대한 출제 기준은
1장 운영체제 기초 활용
1. 운영체제 개념
2. 운영체제 종류 및 특징
3. 운영체제 기본명령어
4. 쉘 스크립트(Shell Script)
2장 네트워크 기초 활용
1. 프로토콜
2. OSI-7 계층
3. 인터넷 구성
4. TCP/UDP
5. IP 주소 체계
3장 기본 개발환경 구축
1. 개발자 개발환경 구축
2. 개발도구 설치
3. 라이브러리 패키지 설치
4. 소프트웨어 버전관리 도구 설치
이렇게만 되어있습니다.
실제 문제를 출제하시는 출제자분들은 문제를 출제해 놓고 다 범위에 포함된다고 하겠지만 교재를 만드는 입장에서는 이럴때가 제일 애매합니다
출제 기준 자체가 간략한 출제 기준이지만 이를 토대로 출제 가능한 내용들을 선별하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더욱 더 노력하여 시험 적중률을 높일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김*혁2024-07-22 18:02:23맞아요.. 당장 이번 주 시험인데...이 책에 의존하고 봐도 되는게 맞나 불안하네요...
-
예*창2024-07-19 00:23:02맞습니다....저도 인터넷에서 실기에서 복원한 문제보고 느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