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페이지에 예제로 설명해주는 해설에서
'UNIX에서는 파일의 권한(permission)을 10자리로 표현하는데 1번째 자리는 디렉터리(d), 또는 파일(-)을,'
이 부분이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예로
- rwx rwx r-x
라 나와있는데 1번째 자리는 파일구분이라 되어있습니다.
그렇다면 d를 쓸때도 있는건가요..?
8진법으로 바꾸고 나면 명령어는
chmod 775 batch.sh로 표현하는데 이때 해설에는 1번째 자리를 제외하고 바꾼다고 합니다.
파일 구분은 무얼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리눅스에서 단순히 ls -al 만 쳐도 디렉터리, 파일의 목록과 권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의 경우
-rwxrwxr-x 와 같이
디렉터리의 경우
drwxrwxr-x 와 같이 나타납니다.
권한 변경시에는 뒤에 오는 이름이 파일이면 파일의 권한, 디렉터리면 디렉터리의 권한이 바뀝니다.
35쪽에서 batch.sh의 권한을 변경했지만, 'temp'라는 디렉터리가 있고 이것의 권한을 바꾸고 싶다면
chmod 775 temp 라고 적으면 되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2-05-06 01:32:54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리눅스에서 단순히 ls -al 만 쳐도 디렉터리, 파일의 목록과 권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의 경우
-rwxrwxr-x 와 같이
디렉터리의 경우
drwxrwxr-x 와 같이 나타납니다.
권한 변경시에는 뒤에 오는 이름이 파일이면 파일의 권한, 디렉터리면 디렉터리의 권한이 바뀝니다.
35쪽에서 batch.sh의 권한을 변경했지만, 'temp'라는 디렉터리가 있고 이것의 권한을 바꾸고 싶다면
chmod 775 temp 라고 적으면 되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