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섹션문제 실제 실기시험에서도 이런식으로 나오나요??
설명문 없으면 문제를 이해하기 너무 어려울 것 같아서요..
CONT[1]=INPUT[2]에서 INPUT[2] 부분이 공란인데, 설명문을 보면 실제데이터는 INPUT[2]부터 인것을 가정하여 생각하시오라고 적혀있습니다.
설명문 없이 조건만 봤을 때는 "실제데이터는 INPUT[1]부터가 맞지만 임의로 INPUT[1]을 통해 그레이코드,이진수 변환을 구분한다."라고 생각했고,
플로우차트에 여러모로 의문이 들어서 시간만 잡아먹었습니다.
차라리 그레이코드,이진수 변환 목적 변수를 따로 만들면 되지않나요?
개인적으로 실제 실기에서 이런식으로 나온다면 너무 애매한 문장이 아닌가 싶은데..
실제로도 이렇게 나오는지, 실제로 나온다면 예시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실제 시험장에서는 <처리 조건>이 상세하게 나타납니다.
해당 문제에서는 우측 상단에서 [조건]으로 두 줄로 표시하고 말았으나 실제 시험으로 출제된다면 직접 배열의 그림까지 그려서 배열의 주소와 각 위치의 용도까지 명확하게 알려줄 것입니다.
(3권 또는 시험대비자료의 기출문제 및 모의고사를 참고해 보세요)
(교재의 조건 표시는 간략히만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레이코드 변환 알고리즘 및 교재에 수록된 대부분의 순서도는 지금까지 실제 시험에 출제되었던 문제를 기반으로 한 것입니다.
다만 과거 시험에서 괄호에 들어갈 정답을 보기에서 고르던 때도 있었기 때문에 종종 중복 정답이 발생할 수는 있으나, 모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출제될 수 있다는 점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당연히 input[1]과 같은 플래그 비트는 별도로 저장하는 것이 좋다는 걸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다만 해당 순서도가 실제 시험에 출제된 바가 있고 또 재출제 될 가능성이 있기에 그대로 보여드린 것이죠. 문제 출제 시 출제자는 수험생들이 이로 인해 혼동되길 원했던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1-07-02 09:34:14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실제 시험장에서는 <처리 조건>이 상세하게 나타납니다.
해당 문제에서는 우측 상단에서 [조건]으로 두 줄로 표시하고 말았으나 실제 시험으로 출제된다면 직접 배열의 그림까지 그려서 배열의 주소와 각 위치의 용도까지 명확하게 알려줄 것입니다.
(3권 또는 시험대비자료의 기출문제 및 모의고사를 참고해 보세요)
(교재의 조건 표시는 간략히만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레이코드 변환 알고리즘 및 교재에 수록된 대부분의 순서도는 지금까지 실제 시험에 출제되었던 문제를 기반으로 한 것입니다.
다만 과거 시험에서 괄호에 들어갈 정답을 보기에서 고르던 때도 있었기 때문에 종종 중복 정답이 발생할 수는 있으나, 모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출제될 수 있다는 점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당연히 input[1]과 같은 플래그 비트는 별도로 저장하는 것이 좋다는 걸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다만 해당 순서도가 실제 시험에 출제된 바가 있고 또 재출제 될 가능성이 있기에 그대로 보여드린 것이죠. 문제 출제 시 출제자는 수험생들이 이로 인해 혼동되길 원했던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