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순서도중
3번 K=J 부분이 yes면 음수의합 Even이고, no면 ODD로 가는데
이걸 어떻게 알수있나요?
정답및해설책에는 K=J가 같으면 짝수라서 음수로간다고써있어서알수있지만. 문제에 제시도안되어있습니다.
모르는상태라면 둘다 반대로 넣을수도있지않을까요..
다른 알고리즘은 다이해가 되었어도 이건 이해가 안되네요.
안녕하세요.
순서도 안에서 실마리를 찾아야 합니다.
우선 J는 마지막 J<=100 을 확인하는 부분에서 J가 각 항이 저장되는 변수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중간에 K와 비교에서 처리를 두 가지로 구분하는 부분은 홀짝을 판별한 후 홀수인 경우와 짝수인 경우의 처리가 분리되는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제의 수열의 형태 상 각 항이 짝수인 경우는 짝수의 합을 누적, 홀수인 경우는 홀수의 합을 누적하기 위해
각 항이 홀수인지 짝수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있어야 하는데,
이때 J를 2로 나눠 나머지가 0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 중간의 처리가 분리되는 부분에는 J대신 K가 있습니다.
중간의 처리가 분리되는 판단 부분에는 무조건 J는 있어야 하는데 말이죠.
그럼 J와 홀수, 짝수 즉 2로 나눈 나머지를 어떠한 변수에 저장해서 그 변수와 비교함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그 변수가 K로 사용된 것이죠.
순서도의 4번째 처리문에서 (① ) = INT(J/2)*2 가 있는데, 이 부분이 2로 나눈 나머지를 저장하는 부분입니다.
그러므로 (① )은 K가 되고, (③ )은 J 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4-17 09:41:26
안녕하세요.
순서도 안에서 실마리를 찾아야 합니다.
우선 J는 마지막 J<=100 을 확인하는 부분에서 J가 각 항이 저장되는 변수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중간에 K와 비교에서 처리를 두 가지로 구분하는 부분은 홀짝을 판별한 후 홀수인 경우와 짝수인 경우의 처리가 분리되는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제의 수열의 형태 상 각 항이 짝수인 경우는 짝수의 합을 누적, 홀수인 경우는 홀수의 합을 누적하기 위해
각 항이 홀수인지 짝수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있어야 하는데,
이때 J를 2로 나눠 나머지가 0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 중간의 처리가 분리되는 부분에는 J대신 K가 있습니다.
중간의 처리가 분리되는 판단 부분에는 무조건 J는 있어야 하는데 말이죠.
그럼 J와 홀수, 짝수 즉 2로 나눈 나머지를 어떠한 변수에 저장해서 그 변수와 비교함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그 변수가 K로 사용된 것이죠.
순서도의 4번째 처리문에서 (① ) = INT(J/2)*2 가 있는데, 이 부분이 2로 나눈 나머지를 저장하는 부분입니다.
그러므로 (① )은 K가 되고, (③ )은 J 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