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페이지
class p {
p() {
System.out.print(1" "):
}
P(int t) {
System.out.print("2 "):
}
}
class c extends p {
c() {
System.out.print("3 ");
}
c(int t) {
System.out.print("4 "):
}
}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 args) {
c obj = new c(100):
}
}
1. c(100) c라는 함수에 인수가 있어서 c(int t)으로 이동한것인가요? c(int t)에는 super가 생략됬다고하는데 공식인건지 궁금한가봐요.
2. c(100)에 인수가 없으면 c()으로 이동한다는뜻인가요? 이쪽에도 다 super라는 함수가 숨어져 있는지 질문드려도될까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c obj = new c(100): <---100이라는 인수로 생성자를 호출하기 때문에 c(int t) 으로 이동된것 입니다.
상속하는 부모 클래스가 존재하는 경우 생성자의 시작점에는 super( )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2.
c obj = new c( ): <--- 이렇게 인수가 없다면 c( ) 으로 이동하겠죠
이때도 상속하는 부모 클래스가 존재하는 경우 생성자의 시작점에는 super( )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열심히 공부하셔서 합격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4-05-14 12:02:08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c obj = new c(100): <---100이라는 인수로 생성자를 호출하기 때문에 c(int t) 으로 이동된것 입니다.
상속하는 부모 클래스가 존재하는 경우 생성자의 시작점에는 super( )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2.
c obj = new c( ): <--- 이렇게 인수가 없다면 c( ) 으로 이동하겠죠
이때도 상속하는 부모 클래스가 존재하는 경우 생성자의 시작점에는 super( )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열심히 공부하셔서 합격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