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번.
답이 2번인데 해설에서
프로토콜이 같은 렌의 확장 시 사용되는 게 브리지라고 나와있는데
이것은 스위치 아닌가요?
이론 부분에서
스위치는 렌과 렌을 연결하여 훨씬 더 큰 렌을 만드는 장치이다
라고 나와있어서요.
3번.
통신망 간의 접송장치 중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까지 담당하면서 통신망의 경로 선택 등을 전담하는 장치
=> 여기서 '통신망의 경로 선택' 부분은 라우터가 맞는데
'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까지 담당 하는 것은 라우터가 아니라 게이트웨이 아닌가요?
라우터는 이론에서 3계층(네트워크계층) 까지의 프로토콜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 라고 나와있어서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브리지와 스위치 모두 프로토콜이 같은 랜과 랜을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브리지의 경우 MAC 계층에서 사용된다는 특징으로 스위치와 구분할 수 있습니다.
[3]
3계층을 담당한다는 말은 3계층 내에서 역할을 수행하다는 것이고, 그 역할에는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 기능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경로 제어', '경로 선택'이라는 용어가 나오면 먼저 라우터를 고려하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2-02-28 10:16:4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브리지와 스위치 모두 프로토콜이 같은 랜과 랜을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브리지의 경우 MAC 계층에서 사용된다는 특징으로 스위치와 구분할 수 있습니다.
[3]
3계층을 담당한다는 말은 3계층 내에서 역할을 수행하다는 것이고, 그 역할에는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 기능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경로 제어', '경로 선택'이라는 용어가 나오면 먼저 라우터를 고려하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