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32
참조무결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외래키로 지정되면 참조테이블의 기본키에 없는 값은 입력할 수 없다고 했고, 기본키는 null값이나 동일한 값이 중복되어 저장될 수 없는데, 외래키 값은 NULL이거나 참조릴레이션의 기본키 값과 동일해야한다고 되어 있는게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기본키가 null이 될 수 없는데 외래키가 null이 될 수 있나요?
p.49
핵심 44번의 문제 중 6번 문제에 관한 질문입니다.
모든 노드는 하나의 부모를 가질 수 없다의 답이 x인데.
해설 풀이는 형제 노드에 대해 적혀있어 이해가 가질 않아서요,, 혹시 근노드가 '부모노드가 없어서 모든 노드는 하나의 부모를 가진다' 의 내용에 대해서 x인건가요?
그리고 해설에 적혀 있는 형제노드에 관한 내용이 맞는건가요? 물어보는 내용이 다른 내용인거같은데..
P.129
1번 폭포수 모델에 관한 문제.
이전단계로 넘어갈 수 없는 선형 순차적 모델인데 문제에는 이전 단계로 환원한다고 되어 있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32]
단순히 참조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참조 대상이 되는 릴레이션의 기본키에 해당하는 값에 (a, b, c)가 있다고 가정하죠.
그렇다면 외래키에 해당하는 속성은, (a, a, a, b, c, NULL, NULL) 이런 식으로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참조하는 속성의 값을 갖거나, 갖지 않으면 NULL이어야 된다는 의미죠.
물론 추가 속성으로 'NOT NULL' 옵션을 부여하여 NULL 값을 가질 수 없게 만드는 것도 가능합니다만 이는 선택사항이죠.
[49]
음.. 이게 하나의 문제를 쪼개서 단답으로 만들었더니 이런 문제가 발생하네요.
해당 지문은 깊이가 2인 트리(level 2)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모든 노드들은 '공통된' 하나의 부모 노드만을 갖고 있는 형태를 말하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트리라면 깊이가 2인 트리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해당 지문은 오답에 해당하고, 이에 부연설명으로 같은 부모노드를 갖는 노드들끼리를 형제노드라고 추가 설명한 것이죠.
[129]
예, 맞습니다.
다음 단계로 넘어간 이후에는 이전 단계로 돌아가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끝나기 전인 마무리 단계에서는 환원(원래대로 돌림)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해당 문구에서 '이전 단계'는 현재 마무리된 단계의 전 단계가 아닌 '마무리된 단계'를 가리킨다고 봐야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6-15 21:09:58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32]
단순히 참조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참조 대상이 되는 릴레이션의 기본키에 해당하는 값에 (a, b, c)가 있다고 가정하죠.
그렇다면 외래키에 해당하는 속성은, (a, a, a, b, c, NULL, NULL) 이런 식으로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참조하는 속성의 값을 갖거나, 갖지 않으면 NULL이어야 된다는 의미죠.
물론 추가 속성으로 'NOT NULL' 옵션을 부여하여 NULL 값을 가질 수 없게 만드는 것도 가능합니다만 이는 선택사항이죠.
[49]
음.. 이게 하나의 문제를 쪼개서 단답으로 만들었더니 이런 문제가 발생하네요.
해당 지문은 깊이가 2인 트리(level 2)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모든 노드들은 '공통된' 하나의 부모 노드만을 갖고 있는 형태를 말하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트리라면 깊이가 2인 트리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해당 지문은 오답에 해당하고, 이에 부연설명으로 같은 부모노드를 갖는 노드들끼리를 형제노드라고 추가 설명한 것이죠.
[129]
예, 맞습니다.
다음 단계로 넘어간 이후에는 이전 단계로 돌아가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끝나기 전인 마무리 단계에서는 환원(원래대로 돌림)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해당 문구에서 '이전 단계'는 현재 마무리된 단계의 전 단계가 아닌 '마무리된 단계'를 가리킨다고 봐야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