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DB에서 사용자의 편의, 구현상의 편의를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지 살펴보면 됩니다.
사용자의 편의라고 함은 사용자가 DB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되겠고,
구현상의 편의라고 함은 DB 구현자가 DB를 구성함에 있어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DML은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DB 테이블, 뷰 등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수정, 삭제하는 등 조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니까요. 다만, '구현상의 편의'라는 것은 DML에서 제공할 수 없는 부분이죠.
DDL은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연결되어 있는 복잡한 테이블들 중에 사용자가 자주 조회하는 필드만을 추출하여 뷰로 생성하거나, 사용자들이 데이터 삽입 시 문제가 없도록 트리거, 도메인 제약 등을 생성하는 방법을 통해서요.
DDL이 테이블, 뷰, 트리거 등등을 생성하는 것 자체가 구현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에 해당합니다. 애초에 DDL이 구현을 위해 존재하는 언어이다보니, DB의 구현에 대한 사항은 DDL 외에 다른 것이 올 여지가 없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3-13 10:16:0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DB에서 사용자의 편의, 구현상의 편의를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지 살펴보면 됩니다.
사용자의 편의라고 함은 사용자가 DB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되겠고,
구현상의 편의라고 함은 DB 구현자가 DB를 구성함에 있어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DML은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DB 테이블, 뷰 등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수정, 삭제하는 등 조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니까요. 다만, '구현상의 편의'라는 것은 DML에서 제공할 수 없는 부분이죠.
DDL은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연결되어 있는 복잡한 테이블들 중에 사용자가 자주 조회하는 필드만을 추출하여 뷰로 생성하거나, 사용자들이 데이터 삽입 시 문제가 없도록 트리거, 도메인 제약 등을 생성하는 방법을 통해서요.
DDL이 테이블, 뷰, 트리거 등등을 생성하는 것 자체가 구현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에 해당합니다. 애초에 DDL이 구현을 위해 존재하는 언어이다보니, DB의 구현에 대한 사항은 DDL 외에 다른 것이 올 여지가 없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