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40쪽 14번에 데이터 웨어하우스 관련 문제인데요, 이 책 한권으로만 공부하고 있는데 이 책에서는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대한 내용이 너무 부족해서 이 문제를 풀 수가 없었어요. 데이터웨어하우스의 OLAP연산이란게 무엇인가요?
2. 41쪽 25번에보기 3번에 '개념적 레코드'가 뭔지, '다중 유형의 복수 어커런스'란게 뭔지 설명해주세요. (혹은 뒤에서 배울 내용이라 아직 모르는건지)
3. 42쪽 33번에 보기 4번 내용 자체를 문제 풀 때 처음 봤는데, 이것도 일단은 그냥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면 뒷부분 공부할때 이해가 되는 내용인가요?
4. 42쪽 34번에서요, 답이 2번인건 이해 되는데 저는 3번도 답이라고 생각했어요. DBA의 임무에 왜 컴퓨터 시스템 운영에 대한 책임이 있나요? 컴퓨터 시스템은 DB랑은 관련이 없는 분야 아닌가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웨어하우스의 데이터를 전략적 정보를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OLAP입니다.
OLAP 연산에는 roll-up, drill-down, pivoting, slicing, dicing 등 이 있습니다.
roll-up : 구체적인 데이터 항목에서 요약 항목으로 접근하는 기능
drill-down : 요약 항목에서 구체적인 데이터 항목으로 접근하는 기능
pivoting : 행, 열, 페이지 등을 변환하여 보여주는 기능
slicing : 데이터를 쪼개(slice) 새로 조합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게 해주는 기능
dicing : slicing이 좀더 세분화된 기능
[2]
3번 보기는 개념 스키마 단계에서 진행된다고만 간단히 기억해 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을 설명하며면 개념 스키마 전반적인 과정을 이해해야 하는데, 그렇게 까지는 시험에 출제되지 않기 때문이죠.
예상문제은행은 출제되었던 문제 중 출제빈도가 적은 부분을 수록한 내용입니다. 그러므로 본문의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부분도 있으며, 이런 부분은 해설을 통해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시면 됩니다.
[3]
이후 SQL에 대해 학습하실 때 좀 더 자세히 다루어집니다.
다만 해당 보기에서는
'뷰를 생성하는 것'은 DBA
'주언어에 DML을 삽입하여 조작'하는 것은 응용 프로그래머이며,
뷰를 생성하는 것은 DML이 아닌 DDL입니다.
전반적으로 맞지 않는 보기죠.
[4]
DB를 관리한 다는 것은 DB가 운영되기 위한 하드웨어 전반과 네트워크 전반, DB 구조 조작 전반을 다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에서 하드웨어 전반이 바로 컴퓨터 시스템에 해당하죠.
(명확하게 하자면 보기의 '컴퓨터 시스템'은 DB가 설치된 하드웨어 시스템이 맞겠죠)
DBA가 하드웨어를 신경써야 하는 이유에는 다양한 것이 있습니다.
어느날 하나의 저장소에 저장된 특정 테이블에 대한 조회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여 하드웨어와 네트워크에 대한 부하가 증가했다고 가정합시다.
DBA는 해당 테이블이 저장된 데이터 저장소를 다른 저장소에도 분할 저장하고, 네트워크 채널을 분산하여 부하를 줄이는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죠.
이 때문에 DBA는 단순 소프트웨어적인 DB 지식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도 충분히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9-26 10:22:18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웨어하우스의 데이터를 전략적 정보를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OLAP입니다.
OLAP 연산에는 roll-up, drill-down, pivoting, slicing, dicing 등 이 있습니다.
roll-up : 구체적인 데이터 항목에서 요약 항목으로 접근하는 기능
drill-down : 요약 항목에서 구체적인 데이터 항목으로 접근하는 기능
pivoting : 행, 열, 페이지 등을 변환하여 보여주는 기능
slicing : 데이터를 쪼개(slice) 새로 조합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게 해주는 기능
dicing : slicing이 좀더 세분화된 기능
[2]
3번 보기는 개념 스키마 단계에서 진행된다고만 간단히 기억해 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을 설명하며면 개념 스키마 전반적인 과정을 이해해야 하는데, 그렇게 까지는 시험에 출제되지 않기 때문이죠.
예상문제은행은 출제되었던 문제 중 출제빈도가 적은 부분을 수록한 내용입니다. 그러므로 본문의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부분도 있으며, 이런 부분은 해설을 통해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시면 됩니다.
[3]
이후 SQL에 대해 학습하실 때 좀 더 자세히 다루어집니다.
다만 해당 보기에서는
'뷰를 생성하는 것'은 DBA
'주언어에 DML을 삽입하여 조작'하는 것은 응용 프로그래머이며,
뷰를 생성하는 것은 DML이 아닌 DDL입니다.
전반적으로 맞지 않는 보기죠.
[4]
DB를 관리한 다는 것은 DB가 운영되기 위한 하드웨어 전반과 네트워크 전반, DB 구조 조작 전반을 다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에서 하드웨어 전반이 바로 컴퓨터 시스템에 해당하죠.
(명확하게 하자면 보기의 '컴퓨터 시스템'은 DB가 설치된 하드웨어 시스템이 맞겠죠)
DBA가 하드웨어를 신경써야 하는 이유에는 다양한 것이 있습니다.
어느날 하나의 저장소에 저장된 특정 테이블에 대한 조회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여 하드웨어와 네트워크에 대한 부하가 증가했다고 가정합시다.
DBA는 해당 테이블이 저장된 데이터 저장소를 다른 저장소에도 분할 저장하고, 네트워크 채널을 분산하여 부하를 줄이는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죠.
이 때문에 DBA는 단순 소프트웨어적인 DB 지식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도 충분히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