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42를 아무리 읽어봐도 문제2번을 풀수가 없어요
해설도 나와있지 않아서 왜 빈칸에 top=top+1이 들어가는지 이해가 되질않습니다.
overflow가 들어가서 top=top+1 이 들어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TOP은 자료가 저장되는 위치를 특정하기위해 사용하는 변수입니다.
IF 조건문에서 TOP>M을 비교합니다.
즉, 자료의 위치(TOP)가 스택의 크기(M)보다 크면 Overflow가 발생한다는 의미죠.
자료가 저장되는 공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스택의 크기가 M이라면,
X(1)
X(2)
....
X(M-1)
X(M)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OP의 시작은 0입니다
2. 자료(item)가 들어옵니다.
3. TOP에 1을 더합니다.
4. TOP이 M보다 큰지 확인합니다.
5-1(4가 참인 경우). Overflow가 발생합니다.
5-2(4가 거짓인 경우). X(TOP)에 자료(item)를 저장합니다.
위에서 삽입이 처음이 아니라면 1은 생략되고 기존의 값을 저장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핵심 문제들을 통해 스택에서 자료들이 어떤 방식으로 저장되고 출력되는지 확실히 학습해두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7-25 13:49:2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TOP은 자료가 저장되는 위치를 특정하기위해 사용하는 변수입니다.
IF 조건문에서 TOP>M을 비교합니다.
즉, 자료의 위치(TOP)가 스택의 크기(M)보다 크면 Overflow가 발생한다는 의미죠.
자료가 저장되는 공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스택의 크기가 M이라면,
X(1)
X(2)
....
X(M-1)
X(M)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OP의 시작은 0입니다
2. 자료(item)가 들어옵니다.
3. TOP에 1을 더합니다.
4. TOP이 M보다 큰지 확인합니다.
5-1(4가 참인 경우). Overflow가 발생합니다.
5-2(4가 거짓인 경우). X(TOP)에 자료(item)를 저장합니다.
위에서 삽입이 처음이 아니라면 1은 생략되고 기존의 값을 저장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핵심 문제들을 통해 스택에서 자료들이 어떤 방식으로 저장되고 출력되는지 확실히 학습해두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