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번은 scan이고, 9번은 look이잖아요,근데 해설에서 보면 헤드가 움직이는게 똑같은데
정확하게 둘의 차이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54p의 LOOK 기법을 보시면 SCAN 기법을 기초로 사용하되 ‘진행 방향의 마지막 요청을 서비스한 후 그 방향의 끝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역방향으로 진행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초기 헤드 위치가 53번 트랙이고, 디스크 대기 큐에 다음과 같은 순서의 액세스 요청이 대기중일 때 헤드의 이동 순서와 총 이동 거리를 구하시오(진행 방향 : 바깥쪽, 안쪽은 0, 바깥쪽은 199로 가정).
디스크 대기 큐 : 98, 183, 37, 122, 14, 124, 65, 67
위와 같은 문제가 나왔을 때 SCAN과 LOOK의 차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SCAN의 이동순서는 : 53 → 65 → 67 → 98 → 122 → 124 → 183 → 199 → 37 → 14
총 이동 거리는 : 12+2+31+24+2+59+16+162+23=331 가 됩니다.
LOOK의 이동순서는 : 53 → 65 → 67 → 98 → 122 → 124 → 183 → 37 → 14
총 이동 거리는 : 12+2+31+24+2+59+146+23=299 가 됩니다.
즉, 디스크 대기 큐에 있는 트랙을 찾는 순서는 같으나, 트랙의 가장 안쪽과 바깥쪽을 만나고 오느냐 마느냐의 차이 때문에 이동 거리에서 차이가 나게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07-12 10:39:24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54p의 LOOK 기법을 보시면 SCAN 기법을 기초로 사용하되 ‘진행 방향의 마지막 요청을 서비스한 후 그 방향의 끝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역방향으로 진행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초기 헤드 위치가 53번 트랙이고, 디스크 대기 큐에 다음과 같은 순서의 액세스 요청이 대기중일 때 헤드의 이동 순서와 총 이동 거리를 구하시오(진행 방향 : 바깥쪽, 안쪽은 0, 바깥쪽은 199로 가정).
디스크 대기 큐 : 98, 183, 37, 122, 14, 124, 65, 67
위와 같은 문제가 나왔을 때 SCAN과 LOOK의 차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SCAN의 이동순서는 : 53 → 65 → 67 → 98 → 122 → 124 → 183 → 199 → 37 → 14
총 이동 거리는 : 12+2+31+24+2+59+16+162+23=331 가 됩니다.
LOOK의 이동순서는 : 53 → 65 → 67 → 98 → 122 → 124 → 183 → 37 → 14
총 이동 거리는 : 12+2+31+24+2+59+146+23=299 가 됩니다.
즉, 디스크 대기 큐에 있는 트랙을 찾는 순서는 같으나, 트랙의 가장 안쪽과 바깥쪽을 만나고 오느냐 마느냐의 차이 때문에 이동 거리에서 차이가 나게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