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만일 다른 내용으로 다시 출제된다면 두 과정으로 모두 진행해 본 후 보기에 제시된 내용 중에서 선택해야 할 것 같습니다.
만일 위키 방식으로만 맞게 보기가 제시된다면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2008년 실기 문제로는 선택 정렬을 교재의 방식 처럼 진행하도록 제시가 되었기 때문이죠. 라고 답변을 주셨는데 2008 년도 실기 몇회 분에서 그런 유형의 문제가 출시가 된것인지 알수가 있을까요? 시험문제에 이의신청을 해야해서요.
안녕하세요.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은
답이 될 수 있는 여러 상황이 제시된 상태에서 별도의 단서가 없이 문제가 출제될 경우를 말하는 것입니다.
교재처럼 값을 직접 교환하면서 정렬하는 것이나 위치 값을 찾아 나중에 교환을 하거나 모두 선택 정렬입니다.
이전 답변처럼 이것이 맞고 저것은 틀리다의 문제가 아니라 효율성에 따른 문제로 이는 선택 정렬을 적용하는 프로그래머의 선택에 의해 이렇게 구현될 수도 저렇게 구현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필기 시험에서와 같이 과정에 포커스를 맞춘 것이라면
그리고 이 과정에서 답이 될 수 있는 여러 상항이 제시된 상태에서 별도의 단서가 없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출제된 필기 문제들은 이러한 논란의 소지가 없는 문제들입니다. 그래서 별도의 단서도 없었던 것이구요.
향후 앞서 언급한 내용처럼 답이 될 수 있는 여러 상황이 보기로 제시된다면 선택 정렬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조건이 제시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실기 문제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선택 정렬을 구현하는 프로그래머의 의도에 따라 다르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값을 직접 교환하면서 정렬하는 방식으로 나오든 최소 값의 위치만 찾아 나중에 교환을 하는 방식으로 나오든 관계가 없다는 것입니다.
앞서 실기 문제가 그렇게 나왔기 때문에 논란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의도가 다르게 표현된 잘못된 답변이었습니다.
실기 문제는 공개되지 않아 수험생들의 기억을 토대로 복원되기 때문에 100%로 정확하다고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7-01 10:38:16
안녕하세요.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은
답이 될 수 있는 여러 상황이 제시된 상태에서 별도의 단서가 없이 문제가 출제될 경우를 말하는 것입니다.
교재처럼 값을 직접 교환하면서 정렬하는 것이나 위치 값을 찾아 나중에 교환을 하거나 모두 선택 정렬입니다.
이전 답변처럼 이것이 맞고 저것은 틀리다의 문제가 아니라 효율성에 따른 문제로 이는 선택 정렬을 적용하는 프로그래머의 선택에 의해 이렇게 구현될 수도 저렇게 구현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필기 시험에서와 같이 과정에 포커스를 맞춘 것이라면
그리고 이 과정에서 답이 될 수 있는 여러 상항이 제시된 상태에서 별도의 단서가 없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출제된 필기 문제들은 이러한 논란의 소지가 없는 문제들입니다. 그래서 별도의 단서도 없었던 것이구요.
향후 앞서 언급한 내용처럼 답이 될 수 있는 여러 상황이 보기로 제시된다면 선택 정렬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조건이 제시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실기 문제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선택 정렬을 구현하는 프로그래머의 의도에 따라 다르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값을 직접 교환하면서 정렬하는 방식으로 나오든 최소 값의 위치만 찾아 나중에 교환을 하는 방식으로 나오든 관계가 없다는 것입니다.
앞서 실기 문제가 그렇게 나왔기 때문에 논란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의도가 다르게 표현된 잘못된 답변이었습니다.
실기 문제는 공개되지 않아 수험생들의 기억을 토대로 복원되기 때문에 100%로 정확하다고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