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까 질문 올렸던 내용인데요. 답변을 너무 모호하게 하셔서 다시 질문 드립니다.
보통 문제에서 n회전후의 결과를 구하라고 나오면 어떤 방식이 맞는건가요? 어떻게 보던 둘중 한 방식은 틀린거 아닙니까? 확실하게 말씀해 주십시오.
--------아래는 아까 질문 드렸던 내용 그대로입니다.----------------
15년 16년도 정보처리 산업기사 필기, 실기에 나와있는 선택정렬 과정과 구글 위키백과나 네이버 백과에 나오는 선택정렬 과정 내용이 달라서 질문드립니다.
산업기사 교재에 나온 선택 정렬 과정
34, 27, 19, 51, 8, 24, 11 을 선택 정렬을 사용하여 2회전을 한 결과 값을 구하면
27, 34, 19. 51, 8, 24, 11
19, 34, 27, 51, 8, 24, 11
8, 34, 27, 51, 19, 24, 11 --1회전 결과
8, 27, 34, 51, 19, 24, 11
8, 19, 34, 51, 27, 24, 11
8, 11, 34, 51, 27, 24, 19 --2회전 결과
=======================================
위키백과나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선택정렬을 검색할 시 나오는 과정은 단순히 비교대상 뒷부분에 나오는 수 중에 최솟값을 찾아 위치를 변경시키는 방식으로 설명을 합니다.
34, 27, 19, 51, 8, 24, 11
8, 27, 19, 51, 34, 24, 11 --1회전 결과
8, 11, 19, 51, 34, 24, 27 -- 2회전 결과
------------
학점은행제에서 자료구조 기말고사를 치루었는데 교재내용으로 풀이를 하니 오답처리가 되었습니다. 교수님이 해설하시는 내용도 위키백과에 나오는 내용과 일치하네요. 하지만 저도 이미 정보처리산업기사 자격증이 있는 사람으로써 어떤 내용이 맞는지 혼동이 오네요.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실기를 염두에 두고 답변한 내용이라 모호하게 느끼신 것 같습니다. 정보처리 시험에 관한 교재이므로 정보처리 출제 내용에 준하여 답변 드리겠습니다.
정보처리 필기 시험에서 선택 정렬의 과정과 관련된 문제는 기사에서만 동일한 문제가 3번 반복 출제되었습니다.
출제된 문제는 교재의 방식이나 위키의 방식 어느 것으로 하든 Pass 2에서 동일한 결과가 산출됩니다.
이는 두 방식이 결과적으로는 맞지만 진행 과정에서 다를 수 있는 것을 염두에 두고 공통의 내용을 문제로 낸 것일 수 있으나 시행처가 문제의 의도까지는 발표하지 않으므로 정확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아직까지 위 문제 이외에 과정에 대한 문제는 출제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만일 다른 내용으로 다시 출제된다면 두 과정으로 모두 진행해 본 후 보기에 제시된 내용 중에서 선택해야 할 것 같습니다.
만일 위키 방식으로만 맞게 보기가 제시된다면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2008년 실기 문제로는 선택 정렬을 교재의 방식 처럼 진행하도록 제시가 되었기 때문이죠.
결론적으로
문제 출제에 있어서는 선택 정렬의 개념만 출제되거나 과정이 출제된다면 위의 제시된 문제만 반복 출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선택 정렬 방식 2가지가
결과적으로는 동일하지만 과정에서 최소값을 찾아 정렬하는 것과 자리 교환을 통해 정렬하는 것의 효율성의 차이가 문제인 것이지 어느 것이 맞다 틀리다의 문제라고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적어도 정보처리 시험에서는 말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6-30 09:37:40
안녕하세요.
실기를 염두에 두고 답변한 내용이라 모호하게 느끼신 것 같습니다. 정보처리 시험에 관한 교재이므로 정보처리 출제 내용에 준하여 답변 드리겠습니다.
정보처리 필기 시험에서 선택 정렬의 과정과 관련된 문제는 기사에서만 동일한 문제가 3번 반복 출제되었습니다.
출제된 문제는 교재의 방식이나 위키의 방식 어느 것으로 하든 Pass 2에서 동일한 결과가 산출됩니다.
이는 두 방식이 결과적으로는 맞지만 진행 과정에서 다를 수 있는 것을 염두에 두고 공통의 내용을 문제로 낸 것일 수 있으나 시행처가 문제의 의도까지는 발표하지 않으므로 정확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아직까지 위 문제 이외에 과정에 대한 문제는 출제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만일 다른 내용으로 다시 출제된다면 두 과정으로 모두 진행해 본 후 보기에 제시된 내용 중에서 선택해야 할 것 같습니다.
만일 위키 방식으로만 맞게 보기가 제시된다면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2008년 실기 문제로는 선택 정렬을 교재의 방식 처럼 진행하도록 제시가 되었기 때문이죠.
결론적으로
문제 출제에 있어서는 선택 정렬의 개념만 출제되거나 과정이 출제된다면 위의 제시된 문제만 반복 출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선택 정렬 방식 2가지가
결과적으로는 동일하지만 과정에서 최소값을 찾아 정렬하는 것과 자리 교환을 통해 정렬하는 것의 효율성의 차이가 문제인 것이지 어느 것이 맞다 틀리다의 문제라고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적어도 정보처리 시험에서는 말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