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N 스케줄링의 핵심 아이디어는 프로세스가 대기하면서 그 응답비율이 계속 증가한다는 것인데, 실제 비선점 스케줄링에서는 한 작업이 실행되는 동안 나머지 작업들의 대기시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매번 재계산하여 선택하는 것이 맞지 않나요? 그렇게 계산하면
[1] 초기 응답비율 계산:
A: (5 + 20) / 20 = 25 / 20 = 1.25
B: (40 + 20) / 20 = 60 / 20 = 3.00
C: (15 + 45) / 45 = 60 / 45 ≈ 1.33
D: (20 + 2) / 2 = 22 / 2 = 11.00
→ 가장 높은 응답비율: D (11.00)
[2] D 실행 후 (서비스시간 = 2):
(다른 프로세스들은 2의 대기시간 증가)
A: 새로운 대기시간 = 5 + 2 = 7
응답비율 = (7 + 20) / 20 = 27 / 20 = 1.35
B: 새로운 대기시간 = 40 + 2 = 42
응답비율 = (42 + 20) / 20 = 62 / 20 = 3.10
C: 새로운 대기시간 = 15 + 2 = 17
응답비율 = (17 + 45) / 45 = 62 / 45 ≈ 1.38
→ 이 시점에서 가장 높은 응답비율: B (3.10)
[3] B 실행 후 (서비스시간 = 20):
(남은 프로세스들은 대기시간이 20 추가 증가)
A: 이전 대기시간 7 → 7 + 20 = 27
응답비율 = (27 + 20) / 20 = 47 / 20 ≈ 2.35
C: 이전 대기시간 17 → 17 + 20 = 37
응답비율 = (37 + 45) / 45 = 82 / 45 ≈ 1.82
→ 이 시점에서 가장 높은 응답비율: A (2.35)
→ 남은 작업: C (마지막 실행)
입니다.
ex)
HRRN Scheduling Algorithm in Operating Systems
Scheduling: Highest Response Ratio Next | Baeldung on Computer Science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처기 시험에서는 초기 응답비율만 계산해서 작업 순서를 정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시험에 출제되고 있는 HRN 스케줄링 우선순위 문제는 프로세스 대기로 인한 응답 비율 증가를 고려한다는 언급이 없으며,
이전 모범 정답이 발표된 시기를 기준으로 답을 확인해보면 초기 응답비율만을 가지고 계산한 형태입니다.
그러니 정보처리기사 필기/실기 시험에 출제되는 HRN 스케줄링 작업 순서와 관련된 문제에서는 프로세스 초기 응답 비율만으로 문제를 풀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5-04-16 10:27:25
안녕하세요.
현재 시험에 출제되고 있는 HRN 스케줄링 우선순위 문제는 프로세스 대기로 인한 응답 비율 증가를 고려한다는 언급이 없으며,
이전 모범 정답이 발표된 시기를 기준으로 답을 확인해보면 초기 응답비율만을 가지고 계산한 형태입니다.
그러니 정보처리기사 필기/실기 시험에 출제되는 HRN 스케줄링 작업 순서와 관련된 문제에서는 프로세스 초기 응답 비율만으로 문제를 풀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이*목2025-04-16 13:17:51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