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37번에서 VOID PRNT (INT *A, INT *B , INT *C ) 이게 아무 표시도 없는데 함수 변수 선언인지는 어떻게 아는건가요 ?
문제 36번에서 INT I,J 선언이 된것 처럼
함수선언은 이런식으로 그냥 이루어진다고 생각하면 되는건가요 ?
함수 선언후 내부에 자료형 변수 선언이라고요 ...! 포인터의 ㄱ밧이 변수로 설정 될 수도 있는지를 몰랐어요
포인터의 속성 값을 변수로 설정한것 맞죠 ?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문제 37번
메소드를 선언을 할때의 기본 형식입니다
접근제어자 반환타입 메소드이름(매개변수목록) { <----- 선언부
// 구현부
}
회원님께서 질문하신 코드의 경우
void prnt(int *a, int *b, int *c); <--- 선언부만 있습니다.
여기서 함수에서 사용할 인수를 모두 정수형 포인터 변수로 선언을 했으니
함수를 호출할때 주소값 인수로하여 해당 함수가 호출이 됩니다
문제 36번
int i, j 는 변수를 선언한 코드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4-10-17 20:04:1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문제 37번
메소드를 선언을 할때의 기본 형식입니다
접근제어자 반환타입 메소드이름(매개변수목록) { <----- 선언부
// 구현부
}
회원님께서 질문하신 코드의 경우
void prnt(int *a, int *b, int *c); <--- 선언부만 있습니다.
여기서 함수에서 사용할 인수를 모두 정수형 포인터 변수로 선언을 했으니
함수를 호출할때 주소값 인수로하여 해당 함수가 호출이 됩니다
문제 36번
int i, j 는 변수를 선언한 코드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