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보처리기사 실기 책 228p에 정리된 선형 자료구조를 보다가 제가 알고 있는 사실과 조금 상충되는 부분이 있어 헷갈려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알기로는 좀 더 엄밀하게 말하자면 스택, 큐, 덱, 리스트 가 추상자료형(ADT) 이고,
Array나 Linked List 같은 경우에는 선형 자료구조를 구현하는 방법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음.. 말로 표현하기가 조금 힘드네요.
제가 표로 정리를 해봤는데 혹시 제가 오개념으로 알고 있는 부분이 있는지 확인해주실 수 있을까요?
틀렸다면 어느 부분이 그런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일반적으로 자료구조를 분류를 할때 선형구조에는 배열, 선형리스트, 스택, 큐, 데크가 있고
비선형 구조에는 트리, 그래프가 있다라고 표현을 합니다.
회원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선형구조를 더 깊게 살펴보면
구현을 하고자 하는 구조에 대해 실제 구현 내용이 아닌 자료구조의 특성과 어떤 행동을 하는지, 어떤 규칙이 있는지를 설명하는 추상자료형이 존재합니다.
실제 구현이 가능한것은 array, linked list가 있습니다.
배열의 경우 정적배열과 동적배열로 나누어 지는데
일반적으로 배열이라고 하면 정적배열을 말하는것 입니다.
정적 배열의 경우 C언어의 배열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동적 배열의 경우 파이썬의 리스트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열심히 공부하셔서 합격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4-05-20 13:32:0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일반적으로 자료구조를 분류를 할때 선형구조에는 배열, 선형리스트, 스택, 큐, 데크가 있고
비선형 구조에는 트리, 그래프가 있다라고 표현을 합니다.
회원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선형구조를 더 깊게 살펴보면
구현을 하고자 하는 구조에 대해 실제 구현 내용이 아닌 자료구조의 특성과 어떤 행동을 하는지, 어떤 규칙이 있는지를 설명하는 추상자료형이 존재합니다.
실제 구현이 가능한것은 array, linked list가 있습니다.
배열의 경우 정적배열과 동적배열로 나누어 지는데
일반적으로 배열이라고 하면 정적배열을 말하는것 입니다.
정적 배열의 경우 C언어의 배열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동적 배열의 경우 파이썬의 리스트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열심히 공부하셔서 합격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