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 연계 방식 종류에 연계 솔루션, ESB, 소켓(Socket), 웹 서비스(Web Service) 가 있는데, 제가 나열한 게 다 중계 시스템인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회원님께서 말씀하신 ESB, 소켓(Socket), 웹 서비스(Web Service) 와 "중계 시스템"은 서로 다른것입니다.
연계 매커니즘의 연계 방식에는 "직접연계방식" 과 "간접연계방식" 이 있습니다.
이것은 송수신 시스템을 연계를 할때 "중간 매개체"를 없이 할것인지, "중간 매개체"를 두어 연계하는지에 따라 나누어 지는것이고
직접 연계 방식의 종류에는 DB Link, API/Open API, DB Connection, JDBC 등이 있고
간접 연계 방식의 종류에는 연계 솔루션, ESB, 소켓(Socket), 웹 서비스(Web Service)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연계방식"은 인터페이스 연계 기술을 말하는것입니다.
회원님께서 말씀하신 중계 시스템은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말하는것으로
송수신 시스템이 위치한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경우", "보안 품질을 중요시하는 경우" 중계시스템 설치하여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 정보 공유의 매개체 역활을 하고 데이터의 모니터링 수행, 각 연계 시스템 간의 데이터 타입변환 등을 수행하는 것이 "중계 시스템" 입니다
열심히 연습하셔서 합격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4-04-11 21:12:4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회원님께서 말씀하신 ESB, 소켓(Socket), 웹 서비스(Web Service) 와 "중계 시스템"은 서로 다른것입니다.
연계 매커니즘의 연계 방식에는 "직접연계방식" 과 "간접연계방식" 이 있습니다.
이것은 송수신 시스템을 연계를 할때 "중간 매개체"를 없이 할것인지, "중간 매개체"를 두어 연계하는지에 따라 나누어 지는것이고
직접 연계 방식의 종류에는 DB Link, API/Open API, DB Connection, JDBC 등이 있고
간접 연계 방식의 종류에는 연계 솔루션, ESB, 소켓(Socket), 웹 서비스(Web Service)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연계방식"은 인터페이스 연계 기술을 말하는것입니다.
회원님께서 말씀하신 중계 시스템은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말하는것으로
송수신 시스템이 위치한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경우", "보안 품질을 중요시하는 경우" 중계시스템 설치하여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 정보 공유의 매개체 역활을 하고 데이터의 모니터링 수행, 각 연계 시스템 간의 데이터 타입변환 등을 수행하는 것이 "중계 시스템" 입니다
열심히 연습하셔서 합격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