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다가 아래의 문장들이 정확히 맞는 건지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틀렸다면 어느 부분이 어떠한 이유에서 틀렸는지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기본키와 다른 속성간에 함수적 종속성이 있다면, 기본키는 결정자이다.'
2. '완전 함수적 종속과 부분 함수적 종속은 기본키가 복합키이다.'
3. '속성 집합 X와 Y가 함수적 종속성이 있다면, X와 Y는 서로 같은 속성을 가질 수 없다'
4. '함수적 종속성은 릴레이션의 특정 시점의 상태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다.
삽입/삭제/갱신 등의 연산으로 변할 수 있는 릴레이션의 가능한 모든 상태를 고려해야 한다.'
ex) 현재 시점에서 학생 릴레이션에서의 모든 학생의 이름이 다르더라도, 이름과 학번은 함수적 종속이라고 할 수 없다
튜플의 삽입으로 동명이인이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5. 책 181p에 나와있는 완전 함수적 종속, 부분 함수적 종속에 대한 설명에 따르면 => X가 반드시 복합키여야 하나요?
6. 예제2의 <수강> 테이블에서 '학번' -> '학년' 이라는 이 관계는 부분 함수적 종속의 정의를 만족하는 거 아닌가요?
즉, '학년은 학번에 부분 함수적 종속이다' 라고 할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기본키라는 말 자체가 다른 속성들의 결정자라는 의미죠.
[2]
특정 속성 A에 대해 기본키가 완전 함수적 종속을 갖는 복합키려면 부분 함수적 종속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부분 함수적 종속을 갖는 복합키라면 완전 함수적 종속이 있을 수 없죠.
[3]
함수적 종속성과 속성 값과 비교하려면 실제 데이터를 두고 비교해야 하죠.
해당 문장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또한 함수적 종속성이 서로 어떤 관계로 엮여 있는지도 설명되어야 합니다.
[4]
'함수적 종속성은 릴레이션의 특정 시점의 상태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다.' 는 얼핏 맞는 말이지만, 정확히는 '릴레이션의 어떤 시점에든지 함수적 종속성은 유지되어야 한다.'가 맞습니다.
동명이인이 생긴다면 이름 뒤에 숫자를 붙여서라도 유지시켜야죠.
[5]
두 함수적 종속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복합키가 필요하죠.
사실상 완전함수적 종속은 복합키의 여부가 상관 없으나, 부분함수적 종속은 복합키가 아니면 존재할 수 없습니다.
[6]
아뇨 위에 말했듯이 부분함수적 종속은 '복합키'에 대해서만 발생합니다.
함수적 종속은 일종의 관계(relationship)입니다. (학번, 과목번호)에 대해서는 학년이 부분 함수적 종속에 해당하지만, '학번'이라는 단일 속성에 대해서는 완전 함수적 종속을 한다고 말할 수 있죠.
예제2의 해설에서 관계도는 단순화시킨 것이지만, 단순화 전에는 다음과 같았을 것입니다.
학번, 과목번호 -> 성적, 학년
학번 -> 학년
과 같이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4-04-01 04:14:2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기본키라는 말 자체가 다른 속성들의 결정자라는 의미죠.
[2]
특정 속성 A에 대해 기본키가 완전 함수적 종속을 갖는 복합키려면 부분 함수적 종속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부분 함수적 종속을 갖는 복합키라면 완전 함수적 종속이 있을 수 없죠.
[3]
함수적 종속성과 속성 값과 비교하려면 실제 데이터를 두고 비교해야 하죠.
해당 문장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또한 함수적 종속성이 서로 어떤 관계로 엮여 있는지도 설명되어야 합니다.
[4]
'함수적 종속성은 릴레이션의 특정 시점의 상태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다.' 는 얼핏 맞는 말이지만, 정확히는 '릴레이션의 어떤 시점에든지 함수적 종속성은 유지되어야 한다.'가 맞습니다.
동명이인이 생긴다면 이름 뒤에 숫자를 붙여서라도 유지시켜야죠.
[5]
두 함수적 종속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복합키가 필요하죠.
사실상 완전함수적 종속은 복합키의 여부가 상관 없으나, 부분함수적 종속은 복합키가 아니면 존재할 수 없습니다.
[6]
아뇨 위에 말했듯이 부분함수적 종속은 '복합키'에 대해서만 발생합니다.
함수적 종속은 일종의 관계(relationship)입니다. (학번, 과목번호)에 대해서는 학년이 부분 함수적 종속에 해당하지만, '학번'이라는 단일 속성에 대해서는 완전 함수적 종속을 한다고 말할 수 있죠.
예제2의 해설에서 관계도는 단순화시킨 것이지만, 단순화 전에는 다음과 같았을 것입니다.
학번, 과목번호 -> 성적, 학년
학번 -> 학년
과 같이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