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요구사항 분석과 명세에 대해서
도서
2023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페이지
44,48
조회수
208
작성일
2023-04-26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44p 에는 

- 요구사항 분석: "도출된 요구사항 중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발견하고 이를 걸러내기 위한 과정"

- 요구사항 명세: "분석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모델을 작성하고 문서화하는 것"

 

이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헌데 48p 섹션 제목이 "요구사항 분석" 이고 그 밑에 정의에는

- 요구사항 분석: "개발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문서화 하는 활동" 이라 나와있습니다.

그 옆에는 "문서화하는 것을 명세화한다고도 합니다." 라고 적혀있구요.

 

섹션7에서 다루는 '요구사항 분석' 섹션 6에서 다루는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 의 4단계 중 2단계와 같은 내용이 맞는건가요?

문서화(명세화)라는 내용이 들어있는걸로 봐서는 섹션 7에서 다루는 2,3 단계(분석, 명세)가 합쳐진걸로 보여서 이해가 잘 안가서 여쭤봅니다.

 

심지어 50p 문제 1에선 "소프트웨어 개발의 출발점이면서 실질적인 첫 번째 단계이다" 라고 나와있는데, 만약 섹션6에서의 요구사항 분석과 섹션7에서 다루는 요구사항 분석이 같은 의미라면 왜 요구사항 도출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출발점이면서 실질적인 첫번째 단계가 되지 못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2023-04-27 10:00:4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DLC)의 '요구사항 분석' 또는 '요구 분석' 과정과

요구공학(Requirement Engineering)의 '요구사항 분석(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는 그 범위에서 차이가 납니다.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이 조금 더 큰 범위에 해당합니다.

SDLC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을 '요구사항 분석'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조금 더 과학적이고 세분화하여 수행하기 위해 적용하는 것이 '요구공학'의 개발 프로세스입니다.

그리고, 그 개발 프로세스의 과정은 도출 - 분석 - 명세 - 확인 으로 나뉘어지며 이 중 '분석'이 '요구사항 분석'이라고도 불려 서로 혼동될 수 있다는 점이죠.

 

일반적으로 말하는 개발 과정에서의 요구분석은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을 의미하며, 요구공학의 '도출-분석-명세-확인'은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의 세분화 과정이다 정도로 생각해두시면 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3-04-27 10:00:4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DLC)의 '요구사항 분석' 또는 '요구 분석' 과정과

    요구공학(Requirement Engineering)의 '요구사항 분석(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는 그 범위에서 차이가 납니다.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이 조금 더 큰 범위에 해당합니다.

    SDLC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을 '요구사항 분석'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조금 더 과학적이고 세분화하여 수행하기 위해 적용하는 것이 '요구공학'의 개발 프로세스입니다.

    그리고, 그 개발 프로세스의 과정은 도출 - 분석 - 명세 - 확인 으로 나뉘어지며 이 중 '분석'이 '요구사항 분석'이라고도 불려 서로 혼동될 수 있다는 점이죠.

     

    일반적으로 말하는 개발 과정에서의 요구분석은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을 의미하며, 요구공학의 '도출-분석-명세-확인'은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의 세분화 과정이다 정도로 생각해두시면 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