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1권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와 요구사항 분석 단원에 문의가 있어 질문드립니다.
개념이 정의된 바로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는 개발 대상에 대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고 분석한 후 명세서에 정리한 다음 확인 및 검증하는 일련의 구조화된 활동을 뜻하고
요구사항 분석은 개발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문서화 하는 활동을 의미하는데요.
두 개념 모두 상대방이 요구하는 요구사항을 이해 및 도출하여 정리하고 결과적으로 문서화하는 과정을 뜻하는 것 같은데
어떤것이 키워드가 되어 두 개념으로 나누어 구분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DLC)의 '요구사항 분석' 또는 '요구 분석' 과정과
요구공학(Requirement Engineering)의 '요구사항 분석(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는 그 범위에서 차이가 납니다.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이 조금 더 큰 범위에 해당합니다.
SDLC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을 '요구사항 분석'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조금 더 과학적이고 세분화하여 수행하기 위해 적용하는 것이 '요구공학'의 개발 프로세스입니다.
그리고, 그 개발 프로세스의 과정은 도출 - 분석 - 명세 - 확인 으로 나뉘어지며 이 중 '분석'이 '요구사항 분석'이라고도 불려 서로 혼동될 수 있다는 점이죠.
일반적으로 말하는 개발 과정에서의 요구분석은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을 의미하며, 요구공학의 '도출-분석-명세-확인'은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의 세분화 과정이다 정도로 생각해두시면 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3-03-09 09:15:3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DLC)의 '요구사항 분석' 또는 '요구 분석' 과정과
요구공학(Requirement Engineering)의 '요구사항 분석(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는 그 범위에서 차이가 납니다.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이 조금 더 큰 범위에 해당합니다.
SDLC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을 '요구사항 분석'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조금 더 과학적이고 세분화하여 수행하기 위해 적용하는 것이 '요구공학'의 개발 프로세스입니다.
그리고, 그 개발 프로세스의 과정은 도출 - 분석 - 명세 - 확인 으로 나뉘어지며 이 중 '분석'이 '요구사항 분석'이라고도 불려 서로 혼동될 수 있다는 점이죠.
일반적으로 말하는 개발 과정에서의 요구분석은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을 의미하며, 요구공학의 '도출-분석-명세-확인'은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의 세분화 과정이다 정도로 생각해두시면 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