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lect 학과, count(학과) as 학과별튜플수 from 학생 group by 학과;
* <-- 이 표시를 쓸때랑 안쓸때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예, 정답입니다.
count(*)과 count([속성명]) 의 차이를 알아두세요.
count(*)은 튜플의 수를 반환하지만,
count([속성명])해당 속성에서 유효한 튜플의 수를 구합니다.
예를 들어 교재 2권 25쪽의 <사원> 테이블을 참고해주세요.
여기서 count(*)을 쓰게 되면 전체 튜플의 수인 8이 반환되겠으나,
count(주소)를 쓰게 되면 주소의 유효 튜플 수인 7이 반환되게 됩니다.
8번째 이름이 '강호동'인 튜플의 경우 주소 속성이 비어있기 때문이죠.
이런 경우를 제외하고는 count에 *을 인수로 쓰던, 속성명을 인수로 쓰던
동일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2-07-23 14:10:3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예, 정답입니다.
count(*)과 count([속성명]) 의 차이를 알아두세요.
count(*)은 튜플의 수를 반환하지만,
count([속성명])해당 속성에서 유효한 튜플의 수를 구합니다.
예를 들어 교재 2권 25쪽의 <사원> 테이블을 참고해주세요.
여기서 count(*)을 쓰게 되면 전체 튜플의 수인 8이 반환되겠으나,
count(주소)를 쓰게 되면 주소의 유효 튜플 수인 7이 반환되게 됩니다.
8번째 이름이 '강호동'인 튜플의 경우 주소 속성이 비어있기 때문이죠.
이런 경우를 제외하고는 count에 *을 인수로 쓰던, 속성명을 인수로 쓰던
동일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