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장 요구사항 개발프로세스 중 요구사항 분석과 8장 요구사항 분석의 개념이 각각 다른 것 같습니다.
7장 요구사항 분석
요구사항 분석은 개발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 중 명확하지 않거나 모호하여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발견하고 이를 걸러내기 위한 과정이다.
8장 요구사항 분석
요구사항 분석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실제적인 첫 단계로, 개발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문서화하는 활동을 말한다.
8장의 요구사항 분석의 개념만 보자면 문서화한다는 면에서 7장의 요구사항 명세와 더 가까운 것 같은데 무엇이 맞는 내용인가요?
시험에서 요구사항 분석의 개념을 써라고 나오게 된다면 7장과 8장 중 어떤 내용으로 적으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DLC)의 '요구사항 분석' 또는 '요구 분석' 과정과
요구공학(Requirement Engineering)의 '요구사항 분석'은 그 범위가 조금 다릅니다.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이 조금 더 큰 범위에 해당합니다.
SDLC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을 '요구사항 분석'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조금 더 과학적이고 세분화하여 수행하기 위해 적용하는 것이 '요구공학'의 개발 프로세스입니다.
그리고, 그 개발 프로세스의 과정은 도출 - 분석 - 명세 - 확인 으로 나뉘어지며 이 중 '분석'이 '요구사항 분석'이라고도 불려 서로 혼동될 수 있다는 점이죠.
일반적으로 말하는 개발 과정에서의 요구분석은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을 의미하므로, 요구공학의 '도출-분석-명세-확인'은 별도의 세분화 과정이다 정도로 생각해두시면 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2-03-25 09:45:1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DLC)의 '요구사항 분석' 또는 '요구 분석' 과정과
요구공학(Requirement Engineering)의 '요구사항 분석'은 그 범위가 조금 다릅니다.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이 조금 더 큰 범위에 해당합니다.
SDLC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을 '요구사항 분석'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조금 더 과학적이고 세분화하여 수행하기 위해 적용하는 것이 '요구공학'의 개발 프로세스입니다.
그리고, 그 개발 프로세스의 과정은 도출 - 분석 - 명세 - 확인 으로 나뉘어지며 이 중 '분석'이 '요구사항 분석'이라고도 불려 서로 혼동될 수 있다는 점이죠.
일반적으로 말하는 개발 과정에서의 요구분석은 SDLC의 요구사항 분석을 의미하므로, 요구공학의 '도출-분석-명세-확인'은 별도의 세분화 과정이다 정도로 생각해두시면 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