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시나공정처기실기 책을보면 39페이지에서는 정적테스트와 동적테스트의 설명이나오며 동적테스트에 화이트박스테스트와 블랙박스텟스트가 들어가며 이 차이는 결과값을 출력 하느냐 안하느냐의 차이로 구분하고 결론적으로 두 테스트다 동적테스트라 말하고있고
209페이지에서는 정적분석도구에 화이트박스테스트 동적분석도구에 블랙박스테스트라고 말하고 있으며 설명에 정적분석도구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소스코드수준에서 보안약점을 분석한다 나와있는데 화이트박스테스트도 프로그램은실행하지만 그내부만 들여다보기때문에 화이트박스테스트아닌가요?? 햇갈려서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정적과 동적은 코드를 실행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 달라지며
화이트박스와 블랙박스는 코드를 직접 보면서 하냐, 보지 않고 하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화이트박스와 블랙박스 테스트가 모두 동적테스트인 것은
화이트박스가 직접 코드의 조건 분기, 문법 규정 등을 준수하는지 눈으로 확인하면서 한 줄, 한 줄 실행시키는 것이라면,
블랙박스는 코드를 그냥 컴파일한 상태에서 여러 번 실행시키면서 입력값에 따른 결과가 예상과 동일하게 나오는지 확인해보기 때문입니다.
209쪽의 사이드를 보니.. 혼동될만하게 적혀있네요. 이후 수정토록하겠습니다.
혼동을 드려 사과드립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1-04-23 15:21:2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정적과 동적은 코드를 실행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 달라지며
화이트박스와 블랙박스는 코드를 직접 보면서 하냐, 보지 않고 하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화이트박스와 블랙박스 테스트가 모두 동적테스트인 것은
화이트박스가 직접 코드의 조건 분기, 문법 규정 등을 준수하는지 눈으로 확인하면서 한 줄, 한 줄 실행시키는 것이라면,
블랙박스는 코드를 그냥 컴파일한 상태에서 여러 번 실행시키면서 입력값에 따른 결과가 예상과 동일하게 나오는지 확인해보기 때문입니다.
209쪽의 사이드를 보니.. 혼동될만하게 적혀있네요. 이후 수정토록하겠습니다.
혼동을 드려 사과드립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