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간단히 개인키 암호화에 대한 몇 개 참고 사이트를 예로 들자면,
https://koolspan.com/private-key-encryption/
https://www.sciencedirect.com/topics/computer-science/private-key-encryption
개인키에 대한 사이트는
https://searchsecurity.techtarget.com/definition/private-key
정도를 예로 들 수 있겠네요.
다만 수험서의 특성 상 실제 시험에 출제되었던 문구를 위주로 구성되는데, 기사에서 개인키 및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의 개념 및 명칭 관련 언급이 없어 '틀린' 문구가 아닌 이상 바로 수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대칭 암호 기법이라는 언급은 해당 필드 내에 존재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1-04-21 10:41:0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간단히 개인키 암호화에 대한 몇 개 참고 사이트를 예로 들자면,
https://koolspan.com/private-key-encryption/
https://www.sciencedirect.com/topics/computer-science/private-key-encryption
개인키에 대한 사이트는
https://searchsecurity.techtarget.com/definition/private-key
정도를 예로 들 수 있겠네요.
다만 수험서의 특성 상 실제 시험에 출제되었던 문구를 위주로 구성되는데, 기사에서 개인키 및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의 개념 및 명칭 관련 언급이 없어 '틀린' 문구가 아닌 이상 바로 수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대칭 암호 기법이라는 언급은 해당 필드 내에 존재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1-04-22 10:44:3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전문서가 아닌 시험에 특화된 수험서의 특성 상 출제 기관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해당 사항에 대해서는 이후 2022 교재 편집 시 반영하여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2021-04-21 23:30:53
아 제가 말씀드린 거는 '개인키 암호화'에 대한 표현이 잘못되었다는 생각에 얘기한 겁니다.
암복호화에 같은 키를 사용하는 알고리즘은 사실 거의 대부분은 대칭키 암호화(symmetric)라 표현하고(여러 암호학 책에서도 대칭키 및 symmetric이라 표현), 가끔가다 private 키 암호화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도 볼 수 있습니다.
근데 여기서 private은 개인이라는 뜻이 아닌, 비밀스런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키 암호화보다는 표현 대신 대칭키 혹은 비밀키 암호화가 맞다 봅니다.
그리고 출제기준에 맞춰야 한다고 할지라도, 저는 출제기관이 그리 전문성이 있다고 보지는 않고(실제 실무와는 거리가 있는 문제를 낸다는 의견이 이미 많습니다), 또한 이와 상관없이 지식을 전달하는 출판사에서는 조금이라도 정확한 정보를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맞다고 보고, 잘 안 쓰이는 것 보다는 흔하게 많이 사용되는 것이 책에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개인키 암호화를 검색하니 검색 결과는 대부분 공개키 및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의 내용이 나오기도 합니다.
사진은 국내 최상위 정보보안 관련 기관 중 하나인 KISA의 질문사항을 첨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