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기출문제집 82쪽 9번, 118쪽 1번 2번, 122쪽 12번
도서
2021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페이지
82
조회수
420
작성일
2021-04-18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저는 실기 기출문제+모의고사를 풀 때 해당 문제의 정답을 설명해주는 section에 찾아가서 해당 section 전체를 공부하는 방식으로 공부를 하고 있는데, 책 전체를 여러번 찾아봤는데 위의 문제들은 도통 어디에 설명이 나와있는지 찾기가 어렵습니다.

 

82쪽 9번 => 코드 커버리지

118쪽 1번=> 정형 분석

118쪽 2번 => OLTP

122쪽 12번 => 콤보박스, 라디오박스

 

필기를 공부할때는 인덱스가 있어서 찾을 수 있었는데 위의 것들은 찾기가 어렵네요. 

혹시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위의 개념들이 포함된 section 찾는 것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또한 추가적인 질문이 있습니다.

 

실기 기출문제 모의고사 3회 3번 문제에서 답은 '데이터 웨어하우스' 라고 표기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section 187을 보면 문제 3번에 해당하는 답은 마치 'OLAP' 인 것처럼 설명이 되어있는데, 답은 데이터 웨어하우스가 맞을까요?

감사합니다.

 

답변
2021-04-19 14:10:34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출제 범위가 필/실기 공통인 범위들이 있음에 따라 모의고사의 경우 기사 필기 교재를 기반으로 작성된 문제들이 있습니다.

 

[검증 기준의 종류 - 2021 기사필기 1권 254쪽]

검증 기준의 종류에는 크게 기능 기반 커버리지, 라인 커버리지, 코드 커버리지가 있으며, 화이트박스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문장 검증 기준, 분기 검증 기준 등은 모두 코드 커버리지에 해당합니다. 

• 기능 기반 커버리지 : 실제 테스트가 수행된 기능의 수 / 전체 기능의 수

• 라인 커버리지(Line Coverage) : 테스트 시나리오가 수행한 소스 코드의 라인 수 / 전체 소스 코드의 라인 수

• 코드 커버리지(Code Coverage) : 소스 코드의 구문, 분기, 조건 등의 구조 코드 자체가 얼마나 테스트되었는지를 측정하는 방법

 

[정형 분석 - 2020 기사필기 47쪽]

정형 분석(Formal Analysis)

정형 분석은 구문(Syntax)과 의미(Semantics)를 갖는 정형화된 언어를 이용해 요구 사항을 수학적 기호로 표현한 후 이를 분석하는 과정이다.

• 정형 분석(Formal Analysis)은 요구사항 분석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 해당 내용은 실기 1권 47쪽의 내용으로 치환되었습니다.

 

[OLTP - 2021 기사필기 1권 165쪽]

트랜잭션 처리는 온라인 업무 처리 형태의 하나로 네트워크 상의 여러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검색하는 등의 단위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작업이 온라인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OLTP;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라고도 부릅니다.

 

[UI 요소 - 2021 기사필기 1권 97쪽]

• 체크 박스(Check Box) : 여러 개의 선택 상황에서 1개 이상의 값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입니다.

• 라디오 버튼(Radio Button) : 여러 항목 중 하나만 선택할 수 있는 버튼입니다.

• 텍스트 박스(Text Box) :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수정할 수 있는 상자입니다.

• 콤보 상자(Combo Box) : 이미 지정된 목록 상자에 내용을 표시하여 선택하거나 새로 입력할 수 있는 상자입니다.

• 목록 상자(List Box) : 콤보 상자와 같이 목록을 표시하지만 새로운 내용을 입력할 수 없는 상자입니다.

 

 

예, 데이터 웨어하우스가 의사결정을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되다 보니 OLAP를 적용하여 운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지문에서는 첫 번째 문단의 '데이터베이스이다.' 라고 언급한 것에서 OLAP보다는 데이터 웨어하우스가 더 가까운 답임을 알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1-04-19 14:10:34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출제 범위가 필/실기 공통인 범위들이 있음에 따라 모의고사의 경우 기사 필기 교재를 기반으로 작성된 문제들이 있습니다.

     

    [검증 기준의 종류 - 2021 기사필기 1권 254쪽]

    검증 기준의 종류에는 크게 기능 기반 커버리지, 라인 커버리지, 코드 커버리지가 있으며, 화이트박스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문장 검증 기준, 분기 검증 기준 등은 모두 코드 커버리지에 해당합니다. 

    • 기능 기반 커버리지 : 실제 테스트가 수행된 기능의 수 / 전체 기능의 수

    • 라인 커버리지(Line Coverage) : 테스트 시나리오가 수행한 소스 코드의 라인 수 / 전체 소스 코드의 라인 수

    • 코드 커버리지(Code Coverage) : 소스 코드의 구문, 분기, 조건 등의 구조 코드 자체가 얼마나 테스트되었는지를 측정하는 방법

     

    [정형 분석 - 2020 기사필기 47쪽]

    정형 분석(Formal Analysis)

    정형 분석은 구문(Syntax)과 의미(Semantics)를 갖는 정형화된 언어를 이용해 요구 사항을 수학적 기호로 표현한 후 이를 분석하는 과정이다.

    • 정형 분석(Formal Analysis)은 요구사항 분석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 해당 내용은 실기 1권 47쪽의 내용으로 치환되었습니다.

     

    [OLTP - 2021 기사필기 1권 165쪽]

    트랜잭션 처리는 온라인 업무 처리 형태의 하나로 네트워크 상의 여러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검색하는 등의 단위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작업이 온라인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OLTP;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라고도 부릅니다.

     

    [UI 요소 - 2021 기사필기 1권 97쪽]

    • 체크 박스(Check Box) : 여러 개의 선택 상황에서 1개 이상의 값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입니다.

    • 라디오 버튼(Radio Button) : 여러 항목 중 하나만 선택할 수 있는 버튼입니다.

    • 텍스트 박스(Text Box) :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수정할 수 있는 상자입니다.

    • 콤보 상자(Combo Box) : 이미 지정된 목록 상자에 내용을 표시하여 선택하거나 새로 입력할 수 있는 상자입니다.

    • 목록 상자(List Box) : 콤보 상자와 같이 목록을 표시하지만 새로운 내용을 입력할 수 없는 상자입니다.

     

     

    예, 데이터 웨어하우스가 의사결정을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되다 보니 OLAP를 적용하여 운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지문에서는 첫 번째 문단의 '데이터베이스이다.' 라고 언급한 것에서 OLAP보다는 데이터 웨어하우스가 더 가까운 답임을 알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