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박스 테스트의 검증 기준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분기검증기준: 소스 코드의 모든 조건문이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함
조건검증기준: 소스 코드의 모든 조건문에 대해 조건이 참인 경우와 거짓인 경우가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함.
분기/조건검증기준: 조건문에 포함된 개별 조건식의 결과가 참인 경우와 거짓인 경우가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함.
이렇게 각 기준에 대해서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제가 생각했을때 분기검증조건에 맞춰 모든 조건문이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한다고 하면, 굳이 두 개의 테스트 케이스를 사용할 필요없이
1->2->4->5->6->1 => 하나의 테스트케이스 만으로도 x>y, call sub(x,p,result)를 모두 수행한 것 아닌가요?
해설지나 기존 문의/답변에서도 나와있듯이 문제 1번에 대해서 모든 분기문에 대해서 참/거짓을 모두 거쳐야 한다고 하는데, 이러면 분기검증과 조건검증이 어떻게 다른가요?
만약 동일한 문제에서 조건검증테스트 혹은 분기/조건검증 테스트를 하려고 한다면 각각에서는 테스트 케이스를 어떻게 작성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분기와 조건 검증 기준에 대한 설명을 이후 좀 더 보강하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내용은 하나의 조건문의 여러 개의 조건식이 들어가 있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if( x>y && i==j ) 처럼 말이죠.
이 경우 분기 검증 기준의 경우 그저 if문이 참인지 거짓인지만 구분하여 케이스를 구성하지만
조건 검증 기준의 경우 x>y, i==j의 조건을 따로 구분하여 각각 테스트 케이스를 구성합니다.
(참참,참거짓,거짓참,거짓거짓의 4가지 경우가 나오겠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1-04-13 14:15:1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분기와 조건 검증 기준에 대한 설명을 이후 좀 더 보강하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내용은 하나의 조건문의 여러 개의 조건식이 들어가 있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if( x>y && i==j ) 처럼 말이죠.
이 경우 분기 검증 기준의 경우 그저 if문이 참인지 거짓인지만 구분하여 케이스를 구성하지만
조건 검증 기준의 경우 x>y, i==j의 조건을 따로 구분하여 각각 테스트 케이스를 구성합니다.
(참참,참거짓,거짓참,거짓거짓의 4가지 경우가 나오겠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