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재를 풀면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문의글을 남깁니다.
1. 순서 문제
( ) → ( ) → ( )
이런 형태의 문제가 있다면, 답으로 A→B→C / A B C / A,B,C
3가지 형식 모두 정답이 되나요?
2. 괄호 안 답 채우기
설명에 맞는 답을 적어라. 설명이 블랙박스테스트일 경우
( ) 테스트
답을 블랙박스테스트 / 블랙박스
이것도 둘 다 정답처리인가요?
3. 용어 문제
워터폴가 대조적인~ 요구사항과 환경변화에 능동적인
이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을 쓰시오.
이 경우에는 답을 애자일, 애자일 모형, 애자일 방법론
모두 정답처리가 될 수 있나요?
---------------------------------
4. 제가 약술형이 약합니다. 키워드는 생각나는데 연결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특히 앞 문장을 시작할 때나 완성할 때 이게 데이터베이스에서 인지, 프로그램인지, 데이터에서 인지 잘 모릅니다.
예를 들면 제가 지금
리팩토리의 목적을 서술하시오. 라는 문제가 있다면
저는 리팩토리의 키워드로
'쉽게 이해', '빠르게 개발' 을 떠올렸지만
답에 필요한 그러니까
'리팩토리의 목적은 프로그램을 쉽게 이해하고 수정하여 빠르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 답이라면
"프로그램" 이부분이 헷갈리고 잘 못적겠습니다. (어디에서 적용되는지?)
적을 때면 이게 시스템인지 프로그램인지 를 많이 어려워하고 있는데 이럴 때는 어떻게 공부하는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예, 어떻게 적어도 상관없습니다.
종종 답란 자체에 괄호로
( ) -> ( ) -> ( )
이렇게 나와 있는 경우 그냥 괄호 내에 답만 채워넣으시면 되죠.
[2]
지문 괄호 문제에
( ) 테스트
인 경우는 '블랙박스'만 적어야 합니다.
'블랙박스 테스트' 전부를 적는다고 오답이 될 가능성은 적지만 가능한 안전하게 적는 것이 중요하죠.
주관사에서 채점 기준에 대한 명확하게 공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출제자가 원하는 정답을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3]
예, 애자일이 들어가는 대부분의 답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4]
개념 보다 키워드가 먼저 떠올라 발생한 문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리팩토링의 개념 자체를 떠올려보세요.
'이미 기존에 짜여진 코드를 다시 새롭게 고쳐쓰는 것인데, 이 이유가 다른 프로그래머가 코드를 볼 때 쉽게 이해하고, 기능 추가 등을 원할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 됩니다.
그렇다면 리팩토링을 떠올렸을 때 "아, 프로그램의 코드 새로 고쳐쓰는거"가 떠올라야 하고 주어나 목적어를 바로 쓸 수 있게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1-03-30 09:37:1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예, 어떻게 적어도 상관없습니다.
종종 답란 자체에 괄호로
( ) -> ( ) -> ( )
이렇게 나와 있는 경우 그냥 괄호 내에 답만 채워넣으시면 되죠.
[2]
지문 괄호 문제에
( ) 테스트
인 경우는 '블랙박스'만 적어야 합니다.
'블랙박스 테스트' 전부를 적는다고 오답이 될 가능성은 적지만 가능한 안전하게 적는 것이 중요하죠.
주관사에서 채점 기준에 대한 명확하게 공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출제자가 원하는 정답을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3]
예, 애자일이 들어가는 대부분의 답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4]
개념 보다 키워드가 먼저 떠올라 발생한 문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리팩토링의 개념 자체를 떠올려보세요.
'이미 기존에 짜여진 코드를 다시 새롭게 고쳐쓰는 것인데, 이 이유가 다른 프로그래머가 코드를 볼 때 쉽게 이해하고, 기능 추가 등을 원할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 됩니다.
그렇다면 리팩토링을 떠올렸을 때 "아, 프로그램의 코드 새로 고쳐쓰는거"가 떠올라야 하고 주어나 목적어를 바로 쓸 수 있게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