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1 정보처리기사 실기 2권 419페이지와 421페이지의 설명이 조금 다르다고 생각되어 문의드립니다.
* 419페이지의 멀티태스킹 설명
멀티캐스트란 한 명 이상의 송신 자들이 특정한 한 명 이상의 수신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421페이지의 멀티태스킹 설명
단일 사용자와 다중 수신자 간의 통신(1 대 다 통신에 사용)
멀티라는 말에 부합되게 두 설명 모두 다수가 될 수 있는 상황이지만
419 페이지 설명은 서로 1대1 or 1대다 or 다대다 가 될 가능성이 있는 설명이고
421페이지 설명은 1 대 다 라고 못박혀있는데요,
전 설명이 다르다고 생각이 되어서 선생님께서 답변으로 다시 정의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서브네팅 질문이 있는데요
2021 정보처리기사 실기 2권 420페이지에 서브네팅의 예)가 있습니다.
제가 모르는 부분은 3개의 subnet으로 나누는데 1(00) 2(01) 3(10) 으로 원래 숫자보다 2진수가 1씩 낮던데
그 이유가 주소가 00000000 부터 시작해서 1 이어도 (00)부터 시작하는건가요?
그럼 여기서 나타내는 1은 10진수로 1을 나타낸다기 보단 단순히 갯수 구분을 위한 숫자인건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멀티캐스트 = 1:n(일대다) 로 암기해두세요.
1:n은 사실상 1:0, 1:1, 1:n을 포함한 개념이며, 이는 서로 연결된 쌍방 혹은 다자가 모두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경우 각각이 모두 1:n으로 연결되므로 n:m(다대다)이 성립할 수도 있습니다.
네트워크 ID는 단순히 비트로 표현가능한 범위를 앞에서부터 나열한 것이며, 교재에 기재된 네트워크ID의 각 번호는 편의상 기재한 것으로, 3개로 구성하라고 하였으므로 a, b, c로 구분하셔도 무방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1-03-23 10:22:23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멀티캐스트 = 1:n(일대다) 로 암기해두세요.
1:n은 사실상 1:0, 1:1, 1:n을 포함한 개념이며, 이는 서로 연결된 쌍방 혹은 다자가 모두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경우 각각이 모두 1:n으로 연결되므로 n:m(다대다)이 성립할 수도 있습니다.
네트워크 ID는 단순히 비트로 표현가능한 범위를 앞에서부터 나열한 것이며, 교재에 기재된 네트워크ID의 각 번호는 편의상 기재한 것으로, 3개로 구성하라고 하였으므로 a, b, c로 구분하셔도 무방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