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1 1권 476쪽 아랫부분에 나와있는 동치분할 검사 예제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책에서는 4개의 범위에 대한 테스트 케이스가 4개인데요.
0점 미만인 경우와 100점 초과인 2개에 대한 케이스도 더 만들어야 되는 것이 아닌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경우에 따라 적용하는 예가 다를 수 있겠으나, 동치분할 검사의 경우 '유효한 경우의 수'에 대해 동일한 입력 자료를 분배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타당한 입력 자료와 타당하지 않은 입력 자료의 개수'라고 한 것은 다음과 같은 if문이 존재할 때,
if (a>80)
print('합격')
else
print('불합격')
여기에서의 참일 때의 조건, 거짓일 때의 조건 모두에 동일하게 입력 자료를 분배해야 한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즉, 타당하지 않은 입력 자료라는 것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자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참/거짓을 예로 두었을 때 거짓인 경우도 검사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1-03-12 10:15:14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경우에 따라 적용하는 예가 다를 수 있겠으나, 동치분할 검사의 경우 '유효한 경우의 수'에 대해 동일한 입력 자료를 분배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타당한 입력 자료와 타당하지 않은 입력 자료의 개수'라고 한 것은 다음과 같은 if문이 존재할 때,
if (a>80)
print('합격')
else
print('불합격')
여기에서의 참일 때의 조건, 거짓일 때의 조건 모두에 동일하게 입력 자료를 분배해야 한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즉, 타당하지 않은 입력 자료라는 것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자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참/거짓을 예로 두었을 때 거짓인 경우도 검사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