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문제에 대한 질문보다 지수형태에 대한 질문인데요.
6번에 2.62E-6이 있으니 이 숫자를 예시로 들어서 질문 드리겠습니다.
교재에선 항상 E-6 이런 식으로 표기가 되어 있는데 강의를 보거나 답을 써야할땐 E-06 이런식으로 0을 붙이더라고요...
두 숫자가 의미가 다른건가요? 답을 써야할때 두 숫자가 정답이 맞나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지수형 실수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실수e+10의 지수' 형태를 갖습니다.
2.62e-6으로 표현하든, 2.620000e-06으로 표현하든 값이 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말씀하신 108쪽의 6번의 경우를 보죠. 이 경우 출력문은 존재하지 않고 단순히 2.62E-6이 입력되어 저장되었고, 변수에 기억된 값이 어떻다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 뿐입니다.
이제 이 값을 %e 서식지정자를 통해 출력하고자 한다면 형태가 바뀌어
2.620000e-06 과 같이 출력되겠죠.
즉, 단순 저장된 값을 묻는 문제라면 어떤 형식으로 쓰시던지 관계 없습니다.
반면 %e 서식지정자를 이용해 출력된 결과를 적으라는 문제라면 2.620000e-06과 같은 형태로 적어주셔야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9-08 11:52:1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지수형 실수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실수e+10의 지수' 형태를 갖습니다.
2.62e-6으로 표현하든, 2.620000e-06으로 표현하든 값이 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말씀하신 108쪽의 6번의 경우를 보죠. 이 경우 출력문은 존재하지 않고 단순히 2.62E-6이 입력되어 저장되었고, 변수에 기억된 값이 어떻다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 뿐입니다.
이제 이 값을 %e 서식지정자를 통해 출력하고자 한다면 형태가 바뀌어
2.620000e-06 과 같이 출력되겠죠.
즉, 단순 저장된 값을 묻는 문제라면 어떤 형식으로 쓰시던지 관계 없습니다.
반면 %e 서식지정자를 이용해 출력된 결과를 적으라는 문제라면 2.620000e-06과 같은 형태로 적어주셔야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