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printf("250은 10진수로 %d\t 8진수로 %o\n", 250, 250);
단순히 생각하세요.
\t 는 탭 만큼 공백을 추가하는 것으로 기본 4칸입니다.
위의 \t와 "8진수" 사이에는 공백 한 칸이 들어가 있습니다. 이 한 칸을 추가로 띄어준 것이죠.
[2]
서식문자열에 표시된 공백만큼 띄운다는 이야기입니다.
printf("\'A\'는 문자로 %c, 아스키코드로 %d\n", 'A', 'A');
위의 형태에서 "%c,"와 "아스키코드로" 사이에 있는 공백 한 칸을 의미합니다.
[3]
아뇨 실제 시험에서는 네모칸이나 공백 표시를 별도로 하지 않습니다.
그저 적절히 띄어주면 되죠.
실질적으로 3번이나 4번 문제같이 채점이 어려운 문제는 나올 가능성이 적습니다.
[4]
그저 적당히 띄어준 것으로 표시하시면 됩니다.
정해진 방법은 없으며 문제에서 별도의 방법을 제시하지 않았다면 다른 공백보다 좀 더 띄어져 있게 적어주시면 됩니다.
[5]
이전 답변을 참고해주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9-01 11:12:2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printf("250은 10진수로 %d\t 8진수로 %o\n", 250, 250);
단순히 생각하세요.
\t 는 탭 만큼 공백을 추가하는 것으로 기본 4칸입니다.
위의 \t와 "8진수" 사이에는 공백 한 칸이 들어가 있습니다. 이 한 칸을 추가로 띄어준 것이죠.
[2]
서식문자열에 표시된 공백만큼 띄운다는 이야기입니다.
printf("\'A\'는 문자로 %c, 아스키코드로 %d\n", 'A', 'A');
위의 형태에서 "%c,"와 "아스키코드로" 사이에 있는 공백 한 칸을 의미합니다.
[3]
아뇨 실제 시험에서는 네모칸이나 공백 표시를 별도로 하지 않습니다.
그저 적절히 띄어주면 되죠.
실질적으로 3번이나 4번 문제같이 채점이 어려운 문제는 나올 가능성이 적습니다.
[4]
그저 적당히 띄어준 것으로 표시하시면 됩니다.
정해진 방법은 없으며 문제에서 별도의 방법을 제시하지 않았다면 다른 공백보다 좀 더 띄어져 있게 적어주시면 됩니다.
[5]
이전 답변을 참고해주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