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징 기법과 세그먼테이션이 동일한 크기와 다양한 크기로 구분된다는것은 알겠는데 단편화에서 어떻게 차이나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페이징 기법에서는
프로그램 크기가 17일 때 프로그램을 4 단위(페이지)로 나누어서 4 크기의 프레임에 적재한다고 가정하죠.
이 때 쪼개진 프로그램의 마지막 크기는 1일 것입니다. (17 = 4*4 +1)
하지만 프레임이 바뀔일은 없죠. 그럼 4 크기의 프레임에 1 크기의 페이지가 들어가게 되어 남은 3 크기의 프레임이 내부 단편화입니다.
세그먼테이션 기법에서는
프로그램 크기가 어떻든 함수 등에 의해 쪼개져 (세그먼트로)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내부 단편화가 존재할 수 없지만, 일부 세그먼트가 작업이 끝나 메모리가 비어버린 상태에서 그 크기에 맞는 다른 세그먼트가 없다면 그 빈 공간이 외부 단편화 영역이 되어버립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7-17 14:55:03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페이징 기법에서는
프로그램 크기가 17일 때 프로그램을 4 단위(페이지)로 나누어서 4 크기의 프레임에 적재한다고 가정하죠.
이 때 쪼개진 프로그램의 마지막 크기는 1일 것입니다. (17 = 4*4 +1)
하지만 프레임이 바뀔일은 없죠. 그럼 4 크기의 프레임에 1 크기의 페이지가 들어가게 되어 남은 3 크기의 프레임이 내부 단편화입니다.
세그먼테이션 기법에서는
프로그램 크기가 어떻든 함수 등에 의해 쪼개져 (세그먼트로)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내부 단편화가 존재할 수 없지만, 일부 세그먼트가 작업이 끝나 메모리가 비어버린 상태에서 그 크기에 맞는 다른 세그먼트가 없다면 그 빈 공간이 외부 단편화 영역이 되어버립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