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33페이지 ROLLUP, CUBE 에서 ROLLUP 은 하위레벨에서 상위 레벨 순으로 데이터 집계 CUBE는 그 반대인데 뭐가 어떻게 상위에서 하위이고 하위에서 상위인지 잘 모르겠네요 속성의 데이터 값도 아닌 것 같구 .. 설명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또한 156페이지의 예제에는 변수 선언하는 DECLARE문 안에 IS 예약어가 없는데 어떨 때 IS를 쓰고 안쓰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36쪽의 결과를 참고해주세요.
1레벨이 최상위로, 레벨이 증가할 때마다 위계가 내려갑니다.
group by 함수(A, B) 일 때
rollup은 총계가 1레벨, A별 소계가 2레벨, 개별 소계가 3레벨 입니다.
cube는 총계가 1레벨, B별 소계가 2레벨, A별 총계가 3레벨, 개별 소계가 4레벨 입니다.
결과만 봤을 때 총계가 어디에 있느냐만 구분해도 어떤 함수가 사용되었는지 알 수 있죠.
굳이 결과를 직접 손으로 쓸 정도까지 이해할 필요는 없고, 각 함수의 기능과 특징, 결과를 구분할 수 있는 수준만 되어도 충분합니다.
----
프로시저, 함수, 트리거가 선언되었을 때는 is 또는 as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반면, 156쪽의 예제와 같이 declare를 통해 절차형 sql을 진행할 때는 is 또는 as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7-17 14:36:0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36쪽의 결과를 참고해주세요.
1레벨이 최상위로, 레벨이 증가할 때마다 위계가 내려갑니다.
group by 함수(A, B) 일 때
rollup은 총계가 1레벨, A별 소계가 2레벨, 개별 소계가 3레벨 입니다.
cube는 총계가 1레벨, B별 소계가 2레벨, A별 총계가 3레벨, 개별 소계가 4레벨 입니다.
결과만 봤을 때 총계가 어디에 있느냐만 구분해도 어떤 함수가 사용되었는지 알 수 있죠.
굳이 결과를 직접 손으로 쓸 정도까지 이해할 필요는 없고, 각 함수의 기능과 특징, 결과를 구분할 수 있는 수준만 되어도 충분합니다.
----
프로시저, 함수, 트리거가 선언되었을 때는 is 또는 as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반면, 156쪽의 예제와 같이 declare를 통해 절차형 sql을 진행할 때는 is 또는 as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