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 149 두 문제 다 지문에 튜플이 삽일될 때(갱신될 때) 트리거를 실행하라고 되어있는데
148 예제에는 동작시기 옵션이 before이고
149 문제에는 동작시기 옵션이 after인데 무슨 차이인가요?
저는 둘 다 after라고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before와 after를 결정짓는 것은 '문제의 문구' 또는 '구현 편의성' 입니다.
문제의 문구에서 ~전에 또는 ~후에 라고 언급한다면 그대로 before / after를 사용하시면 되고,
구현 편의성은 단순히 데이터 조작 전/후에 처리하는 것이 편하거나, 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 입니다. 예를 들어 삽입 또는 갱신하려는 속성에 도메인이 존재하는 경우 삽입 / 갱신 전에 맞춰주야 하죠. 그렇지 않으면 삽입/갱신 자체가 되질 않으니까요.
148, 149의 두 문제의 경우 before/after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관합니다.
다만 148쪽의 예제와 같이 속성값을 추가하거나 값을 변경하는 경우 도메인을 고려하여 before를 많이 사용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7-16 10:05:04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before와 after를 결정짓는 것은 '문제의 문구' 또는 '구현 편의성' 입니다.
문제의 문구에서 ~전에 또는 ~후에 라고 언급한다면 그대로 before / after를 사용하시면 되고,
구현 편의성은 단순히 데이터 조작 전/후에 처리하는 것이 편하거나, 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 입니다. 예를 들어 삽입 또는 갱신하려는 속성에 도메인이 존재하는 경우 삽입 / 갱신 전에 맞춰주야 하죠. 그렇지 않으면 삽입/갱신 자체가 되질 않으니까요.
148, 149의 두 문제의 경우 before/after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관합니다.
다만 148쪽의 예제와 같이 속성값을 추가하거나 값을 변경하는 경우 도메인을 고려하여 before를 많이 사용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