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d, "%d") 같은 경우는 1, 2처럼 작성하고
print("%d %d") 같은 경우는 1 2 처럼 작성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160쪽 43번문제는 print(totsu, tot) 답이 9, 5가 아니고 9 5 인 이유가 뭔가요?
%처럼 서식이 없으면 답안 작성시에 ,(쉼표)가 안붙는건가요?
답을 맞게 적었어도 쉼표 하나 차이로 틀리게 되면 억울할 거 같아서
확실하게 알고 싶어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언어마다 출력문의 차이가 있음을 확실히 알아두세요.
Python의 print문의 경우 기본적으로 변수들의 구분(sep속성)은 공백 한 칸, 하나의 print문이 종료하면 마지막(end속성)에 줄나눔이 찍힙니다. (교재 1권 109쪽)
print(1, 2)
print(3, 4)
위와 같이 출력한다면,
1 2
3 4
이렇게 출력되게 되죠.
추가로 자바의 println문도 기억해두세요.
printf와 모두 동일하지만 마지막에 줄나눔이 자동으로 삽입되는 출력문입니다.
System.out.println("%d, %d", 1, 2);
System.out.printf("%d, %d", 3, 4);
[결과]
1, 2
3, 4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6-26 14:29:3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언어마다 출력문의 차이가 있음을 확실히 알아두세요.
Python의 print문의 경우 기본적으로 변수들의 구분(sep속성)은 공백 한 칸, 하나의 print문이 종료하면 마지막(end속성)에 줄나눔이 찍힙니다. (교재 1권 109쪽)
print(1, 2)
print(3, 4)
위와 같이 출력한다면,
1 2
3 4
이렇게 출력되게 되죠.
추가로 자바의 println문도 기억해두세요.
printf와 모두 동일하지만 마지막에 줄나눔이 자동으로 삽입되는 출력문입니다.
System.out.println("%d, %d", 1, 2);
System.out.printf("%d, %d", 3, 4);
[결과]
1, 2
3, 4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