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문제에서 해설이 '제품명' 속성의 집합이 '납품처' 속성에만 종속되고 '담당사원' 속성에는 무관하다고 되어있는데 {납품처→제품명}이 함수적 종속이 아니지 않나요? '납품처'가 "대명금속"일 때 '제품명' 값이 "베어링"과 "나사"로 두 가지가 나오는데... '담당사원' 속성도 '납품처'에만 종속된다고 나오는데 {납품처→담당사원}도 '납품처'가 "대명금속"일 때 '담당사원'이 "김봉연"과 "김정연" 두 가지 값이 나오는데 정오표에도 안나와있어서 물어봅니다 ㅜㅜ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제품명의 값을 결정하는 속성은 납품처 입니다.
베어링, 나사 -> 대명금속
백상지, 아트지 -> 신한제지
드릴 -> 우광산업
에탄올 -> 국보화학
다만 여기서 결정자는 종속자의 단일 값을 결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함수적 종속이 아닌 '다치 종속'이 됩니다.
다치 종속은 4 정규화의 특징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일반적인 함수적 종속과는 조금 별개로 보셔야 합니다.
참고로 제 4정규형은 현실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학문적인 개념의 정규형이죠.
4 정규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에 맞는 정확한 테이블(3개 필드와 3개 필드가 모두 하나의 복합키일 것)이 존재해야 하므로, 사실상 문제로 나온다면 테이블의 형태만 봐도 어떤 정규형인지 알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5-14 15:27:3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제품명의 값을 결정하는 속성은 납품처 입니다.
베어링, 나사 -> 대명금속
백상지, 아트지 -> 신한제지
드릴 -> 우광산업
에탄올 -> 국보화학
다만 여기서 결정자는 종속자의 단일 값을 결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함수적 종속이 아닌 '다치 종속'이 됩니다.
다치 종속은 4 정규화의 특징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일반적인 함수적 종속과는 조금 별개로 보셔야 합니다.
참고로 제 4정규형은 현실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학문적인 개념의 정규형이죠.
4 정규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에 맞는 정확한 테이블(3개 필드와 3개 필드가 모두 하나의 복합키일 것)이 존재해야 하므로, 사실상 문제로 나온다면 테이블의 형태만 봐도 어떤 정규형인지 알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