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쪽의 1번 문제에서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결과를 쓰라고 되어있는데,
문제의 do while 문에서 printf는 10번 사용이 되잖아요?
그래서 답을 0,0 부터 9,45까지라고 생각하여 그렇게 썼는데
182쪽의 답에는 9,45 만 적혀있어 문의드립니다.
실제로 출력되는
1, 1
2, 2
.
.
9, 45
와는 상관없이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결과'라는 의미는 마지막줄에 출력되는 결과 ( 9, 45 ) 를 의미하는 건가요?
실제 시험에서도 이러한 의도로 문제가 나왔었나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기사 실기 시험은 개편 후 1회도 치뤄지지 않은 시험이라 어떤 유형의 문제가 나올지 정확히 예측할 수 없습니다.
기존 기사 시험 문제에서는 일반적으로 출력문이 반복문 외부에 있거나, 빈 칸을 채우는 문제만 출제되었었습니다.
다만 결과를 적는 코드 문제의 경우 반복문이 사용될 때 출력문이 반복문 내부에 있는 경우 해당 결과를 모두 적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기에 만약 문제가 나온다면 이러한 유형으로 나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제작된 문제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3-30 14:06:20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기사 실기 시험은 개편 후 1회도 치뤄지지 않은 시험이라 어떤 유형의 문제가 나올지 정확히 예측할 수 없습니다.
기존 기사 시험 문제에서는 일반적으로 출력문이 반복문 외부에 있거나, 빈 칸을 채우는 문제만 출제되었었습니다.
다만 결과를 적는 코드 문제의 경우 반복문이 사용될 때 출력문이 반복문 내부에 있는 경우 해당 결과를 모두 적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기에 만약 문제가 나온다면 이러한 유형으로 나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제작된 문제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4-01 09:31:38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산업인력공단의 공개된 채점 기준 중, 정답을 중복 또는 여러 줄로 적는 경우 첫 번 째 적힌 답안으로 채점하고 이후에 적힌 것은 무효 처리한다는 언급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만약 문제가 예상문제와 동일하게 마지막 출력값을 묻는 의도로 제작되었다면, 모든 출력값을 적는 것은 오답이 될 것 같습니다. 문제의 모호성이라는 것이 지적받기 전까지는 출제자들도 명확히 알 수 없는 것이니까요.
다만 게시판에 질문 주신 것과 같이 공단에 '이의신청'을 넣어볼 수는 있는데, 이 경우 어떻게 처리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2020-03-31 16:18:04
답변해주신 문제 제작 의도에 대해서는 알겠습니다.
하지만 처음에 제가 의문을 가지게 된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결과'라는 표현에 대해서는 크게 해소되지 않은 것 같아요.
너무 모호한 표현인 것 같아요.
'최종적'이라는 말은 마지막만을 의미할 수도 있겠지만, 결과적으로 출력되는 값이라는 말로도 이해가되어 출력되는 전부를 의미할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마지막줄'이라고 해석을 했을 때,
사실상 마지막에는 \n이 출력되어 마지막줄에는 그 어떤 결과도 없을 테니까요.
아 물론, 마지막 printf()의 결과를 의미할 때는 9,45가 맞겠지요.
실제로 문제가 나온다면 이런 모호성을 없앤 '마지막 printf()의 출력 결과'라고 표현하는 것이 옳다는 것이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혹시 문제가 실제로 이런 표현('최종적으로 출력되는 결과')을 사용하여 출제가 된다면,
0,0부터 9,45까지 모두 적은 사람은 틀리게 채점될 것 같나요, 문제의 모호성을 인정하고 정답으로 채점될 것 같나요?
답변해주시는 수고에 대해 감사합니다.